20∼30대 비만 인구 급증…고도 비만도 높아

입력 2015-08-12 12: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02년 이후 20~30대를 중심으로 비만 인구가 계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년 뒤 전체 고도비만율이 5.9%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12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02∼2013년 국민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분석 결과 2013년 고도비만(체질량지수 30㎏/㎡ 이상) 비율은 4.2%로 2002년(2.5%)에 비해 1.7배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20∼30대에서 고도비만율이 급증했다. 2013년 30대 남성의 고도비만율은 7.1%로 나타나 모든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20대 남성의 고도비만율도 6.2%로 높은 편이었다.

30대 여성의 고도비만율은 2002년에 1.2%였으나 11년이 지난 2013년에는 3.5%로 높아져, 11년 만에 약 3배로 늘었다. 20대 여성의 고도비만율도 같은 기간 2.8배로 증가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소득 수준별로도 비만율이 갈려지는 경향을 보였다. 저소득층의 고도비만율이 고소득층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런 가운데 건강보험공단은 국내 비만율이 2002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했다며 2025년에는 고도비만율이 5.9%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02년 0.17%에서 2013년 0.49%로 2.9배가 된 증가한 초고도비만(체질량지수 35㎏/㎡ 이상)율 역시 10년 뒤 0.76%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건보공단은 덧붙였다.

건보공단은 비만 인구가 증가하면서 이와 관련한 진료비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비만으로 인한 진료비는 2002년 8000억원에서 2013년 3조7000억원으로 4.5배가 됐다. 10년 뒤인 2025년이면 비만 관련 질환 진료비가 현재보다 2배 가까이로 늘어난 7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오는 13일 르네상스 서울호텔에서는 '아시아의 비만 실태와 관리 전략' 국제 심포지엄이 열린다.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사무처(WHO WPRO)와 보건복지부의 후원으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에는 이언 캐터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 등 해외 석학들과 국내 전문가들이 모여 아시아의 비만 실태와 관리 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310,000
    • +2.95%
    • 이더리움
    • 4,847,000
    • +1.93%
    • 비트코인 캐시
    • 555,000
    • +3.64%
    • 리플
    • 667
    • +0.45%
    • 솔라나
    • 206,300
    • +4.56%
    • 에이다
    • 550
    • +1.48%
    • 이오스
    • 812
    • +2.01%
    • 트론
    • 176
    • -0.56%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3.09%
    • 체인링크
    • 20,090
    • +5.79%
    • 샌드박스
    • 466
    • +1.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