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총저축률이 17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이에 대한 경제 파급효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분기 총저축률은 36.5%로 상승했다. 지난해 1분기(35.0%)보다 1.5%포인트, 전분기(34.7%)보다 1.8%포인트 높았다.
분기별로는 1998년 3분기(37.2%) 이후, 연도별 1분기 기준으로는 1998년 1분기(40.6%)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다.
총저축률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에서 최종소비지출을 뺀 값(총저축액)을 GNDI로 나눠 산출한다. 따라서 쓸 수 있는 소득 가운데 안 쓰고 남은 소득의 비율을 의미한다.
문제는 과거 기업과 정부가 주도했던 총저축률의 상승세를 이번엔 가계가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총저축률은 가계(비영리단체 포함)와 기업을 더한 '민간'과 '정부'의 저축률을 합친 수치로 이중 민간은 지난해 27.8%로 2년째 상승하며 1998년(28.9%)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이중 그 중 기업은 최근 몇 년간 21% 안팎에서 정체했지만 가계는 2012~2014년에 5.4%, 6.3%, 7.1%로 3년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같은기간 정부는 7.6%, 7.3%, 6.9%로 하향세를 보여 지난해에는 가계저축률이 정부저축률을 앞지르는 이변이 발생하기도 했다.
가계저축률의 급격한 상승은 몇년간 지속되어온 경기불황과 고용불안, 불안한 은퇴생활, 전세값 부담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결국 가계가 불안한 미래에 대해 확신을 가지지 못하면서 민간 저축률이 총저축률을 주도하는 양상이 된 것이다.
민간소비의 촉진제로 쓰여야할 유동자금이 저축에 묶이면서 내수는 이미 바닥세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소매판매는 지난해 3분기 1.3% 증가 이후 4분기 0.4%, 올해 1분기 0.5% 등 미약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국민계정상의 민간소비 또한 지난해 3분기 0.8%를 정점으로 0.4~5% 대를 면치 못하고 있는 양상이다.
문제는 저축증가에 따른 돈맥경화가 내수를 가로막으며 경기저하의 악순환을 양산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계 소비가 줄면서 제조업이 축소되고 임금과 고용이 정체돼 결국 가계 긴축을 불러오는 양상이다.
때문에 지난해부터 정부는 경기진착을 위한 다방면의 내수활성화 정책을 펼쳤지만 1분기 총저축률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정책효용성에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