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 앞둔 KT미디어허브, 4개 사업 '쪼개지고 합쳐지고'

입력 2015-01-21 08:48 수정 2015-01-21 09: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레TVㆍ콘텐츠ㆍ광고ㆍ모바일, 각각 KT 흡수 또는 계열사 편입 윤곽

KT가 지난 8일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한 KT미디어허브의 ‘사업부문 새판짜기’ 윤곽이 드러났다. 올레TV, 콘텐츠 제작, 광고, 모바일TV 등 KT미디어허브의 주요 4가지 사업이 각각 KT로 흡수되거나 유사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계열사로 편입되는 등 내부 합종연횡이 진행될 예정이다.

21일 KT에 따르면 올레TV 부문은 KT미디어허브가 운영권만 가지고 있었던 점을 감안해 사업권을 확보하고 있는 본사에 흡수될 가능성이 높다. 당초 KT의 사업 본부였던 KT미디어허브는 2012년 12월 분사해 올레TV를 운영하고 있다. 향후 IPTV- UHD 콘텐츠 확보와 IPTV 가입자당 평균수익(ARPU) 강화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KT IPTV의 점유율은 업계 1위지만 ARPU는 3위다. 또 UHD 방송채널 송출 대행사업은 지난해 12월 이미 KT스카이라이프TV에 넘긴 상태다.

광고 부문은 KT의 지하철 5~8호선 광고, KT미디어허브의 신분당선 광고를 비롯한 서울시내 버스정류장 사이니지 운영권을 하나로 통합, KT 보다는 나스미디어가 관할하는 모양새로 될 확률이 높다.

콘텐츠 직접 제작 유통 부문은 극장판 뽀로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흥행에 실패한 이력이 있어 사실상 포기 상태다. 오히려 외부에서 사들이는 방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또 모바일 TV부문은 KT에 남되, 수익성이 낮아 플랫폼 강화로 방향 전환이 예상된다.

이 같은 움직임은 이석채 전 회장 시절의 흔적을 없애면서, 동시에 흩어져 있던 사업부문을 재배치해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황창규 회장의 2가지 전략이 내포돼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스카이라이프-KT미디어허브의 합병 시나리오가 무산되며 시너지 효과에 대한 기대감도 무너졌다”는 부정적인 해석도 나온다. 실제 KT미디어허브 흡수합병 결정 이후 KT 주가는 하루 만에 10%대 낙폭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한편 KT미디어허브 임직원들은 오는 2월9일 강남 사무실에서 KT광화문 사옥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18호 태풍 '끄라톤' 덮친 대만…무너지고 부서진 현장 모습 [포토]
  • '나솔사계' 19기 영숙, 모태솔로 탈출하나…21기 영수에 거침없는 직진
  • kt 위즈, 새 역사 썼다…5위팀 최초로 준플레이오프 진출
  • '흑백요리사' 요리하는 돌아이, BTS 제이홉과 무슨 관계?
  • 뉴진스 민지도 승요 실패…두산 여자아이돌 시구 잔혹사
  • 건설업계·부동산 전문가 75% "서울 아파트값 계속 오른다"…지방은 상승 "어려워"
  • 일본 신임 총리 한마디에...엔화 가치, 2년 만에 최대폭 곤두박질
  • 외국인 8월 이후 11조 팔았다...삼바 현대차 신한지주 등 실적 밸류업주 매수
  • 오늘의 상승종목

  • 10.04 09:0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314,000
    • +0.69%
    • 이더리움
    • 3,184,000
    • -0.06%
    • 비트코인 캐시
    • 434,500
    • +2.12%
    • 리플
    • 707
    • -1.67%
    • 솔라나
    • 185,700
    • -1.17%
    • 에이다
    • 469
    • +1.3%
    • 이오스
    • 634
    • +0.96%
    • 트론
    • 213
    • +1.91%
    • 스텔라루멘
    • 123
    • +1.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950
    • +0.17%
    • 체인링크
    • 14,470
    • +0.84%
    • 샌드박스
    • 333
    • +1.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