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경 금통위원 "원·달러 환율, 팬데믹 이전 수준 하락 어려워"

입력 2023-06-02 11:00 수정 2023-06-02 11: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BOK 국제컨퍼런스 패널토론 발표 "자본 유입 급감 우려는 크지 않아"

(한국은행)
(한국은행)
작년 이후 원ㆍ달러 환율 약세 및 변동성 증가에는 경기적 요인뿐만 아니라 인구 고령화와 대중국 경쟁심화, 해외 투자수요 확대 등 구조적 변화가 작용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에 따라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환율이 하락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서영경<사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2일 한은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2023 BOK국제 컨퍼런스'에서 '팬데믹 이후의 뉴 노멀: 환율 변동의 파급경로 변화'를 주제로 한 패널토론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서 위원은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 중앙은행이 팬데믹 이후 직면한 도전과제는 물가 및 부채의 증가, 글로벌 공급망 축소, 선진국의 빠른 긴축과 같은 여건변화 하에서 '국내 물가안정과 금융안정'뿐만 아니라 '대외부문 안정' 간의 새로운 균형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원화 환율은 작년 이후 글로벌 요인(미달러화 강세)과 한국 고유요인(무역수지 흑자축소, 해외투자 증가)에 의해 약세를 보이고 변동성도 증가했다"며 "그 배경에는 경기적 요인뿐만 아니라 구조적 변화(대중국 경쟁심화, 인구고령화, 기업·가계의 해외투자수요 확대 등)가 작용하고 있어 원화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과거보다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는 약화됐다"며 "수출입가격의 달러표시 확대, 중간재·에너지의 높은 수입의존도 등으로 인해 원화가 절하되더라도 수출증가와 수입감소 효과는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서 위원은 또 과거보다 자본이동을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가 강화된 것으로 판단했다. 작년 이후 해외주식투자 유출규모가 축소되고 작년 말 관련 법 개정 이후 해외투자의 배당금 유입이 확대되고 있는 점은 원화절하 압력을 완화하는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기능이 약화됐으므로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서는 수출경쟁력 강화, 수출시장 다변화, 중간재 수입대체와 같은 구조적 노력이 중요하다"며 "자본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해외직접투자의 배당금 환류 여건 개선, 외국인의 국내증권투자 유인 확대 등 경제·금융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같이 자국 통화가 국제화되어 있지 않은 국가의 경우, ‘물가안정, 금융안정, 대외부문 안정’ 간의 트릴레마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건전한 거시경제정책과 외환시장 안정화 정책을 병행하는 통합적 정책체계(integrated policy framework)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서 위원은 "원화의 약세와 변동성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본유입이 급감할 위험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 부문의 단기외채 감소와 민간의 대외자산 증가에 힘입어 우리 경제의 통화불일치(currency mismatch) 문제가 크게 완화됐기 때문이라는 게 서 위원의 분석이다.

그는 "단기외채 축소와 달리 장기외채가 최근 외국인 국내채권 투자확대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 자금이 원화절하와 내외금리차 확대에 취약하다는 우려가 있다"면서도 "한국경제의 펀더멘털에 기초한 장기투자가 많다는 점에서 이러한 우려 역시 크다고 보이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503,000
    • +3.5%
    • 이더리움
    • 4,691,000
    • +8.16%
    • 비트코인 캐시
    • 680,000
    • +10.03%
    • 리플
    • 1,655
    • +7.4%
    • 솔라나
    • 358,200
    • +8.28%
    • 에이다
    • 1,111
    • -1.86%
    • 이오스
    • 919
    • +4.31%
    • 트론
    • 277
    • +0.36%
    • 스텔라루멘
    • 341
    • -1.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850
    • -0.37%
    • 체인링크
    • 20,900
    • +3.11%
    • 샌드박스
    • 479
    • +1.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