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휴대폰 공급가 OECD 1위…“거품 많다” vs “고사양 많은 탓”

입력 2014-10-13 08: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통사ㆍ제조사들, OECD 순위 자료에 "현실 기준 무시한 일방적 주장"

우리나라의 지난해 휴대전화 단말기 공급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중 가장 높다는 조사 결과에 대해 국내 제조사들은 현실과 기준을 무시한 일방적 주장이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13일 한 이동통신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일반폰보다 오히려 고가인 프리미엄폰 비중이 높기 때문에 평균 공급가가 높을 수 밖에 없는 시장 구조”라고 설명했다. 실제 국내 프리미엄폰의 경우 일반폰과 달리 공급가가 매년 급격한 상승세를 타고 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문병호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12일 미래부로부터 제출받은 ‘2011∼2013 OECD 주요국의 휴대전화 단말기 공급가’ 자료를 근거로 한국의 일반폰 공급가가 230.56달러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고 지적했다.

문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1년과 2012년에는 우리나라의 일반폰 공급가는 각각 246.40달러, 235.91달러로 2위를 차지했으나,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반면 미국은 2011년 108.94달러(21위), 2012년 109.94달러(15위), 작년 107.55달러(18위) 등으로 우리나라의 절반도 안되는 단말기 가격 수준을 보여줬다.

고가 프리미엄폰에서도 우리나라는 2011년 410.98달러, 2012년 492.99달러로 각각 3위였으나, 작년에는 512.24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2011년 456.35달러(1위), 2012년 453.86달러(7위), 2013년 359.90달러(14위)로 공급가가 점차 떨어졌다. 미국은 2011년 340.34달러(18위)에서 2012년 523.11달러(1위)로 급격히 올랐다가 작년에는 512.24달러(2위)로 소폭 하락했다.

이 같은 조사 결과에 대해 제조사들은 현실을 감안하지 않은 일방적인 조사 결과라고 해명하고 나섰다.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단말기의 종류는 저가부터 고가까지 다양하지만, 국내의 고급화된 소비 패턴에 따라 고가의 단말기 공급이 많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또 다른 제조사 관계자는 “제조사가 고가의 단말기 공급을 통해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되지만 사실 국가별로 동일한 모델을 스펙, 세금 등을 고려해 비교했을 경우 단말기 가격이 비슷해 이 같은 주장이 나올 수 없다”고 반박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페인, 잉글랜드 꺾고 '4번째 유로 정상'…MVP는 로드리·신인왕 야말 [유로 2024]
  • 2024 초복 인기 메뉴는 단연 치킨…복날 맞이 치킨 가격 순위 50 [그래픽 스토리]
  • 정부 규제에 배달 수수료·최저임금 ‘쑥’…셔터 내리는 프랜차이즈 [K프랜차이즈 갈등의 골]
  • 유니클로부터 K리그까지…온 세상이 '헬로키티' 천국? [솔드아웃]
  • FBI “트럼프 총격범, 단독범행…정신병력 없다”
  • 변우석 측, '과잉경호' 논란에 사과 "현장에서 인지할 수 없어…도의적 책임 통감"
  • 5대銀, 상반기 부실채권 3.2조 털어내…연체율 코로나 이후 최고 수준
  • 사법리스크 ‘최고조’ 달한 카카오…주가 시나리오 따져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14: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85,000
    • +4.68%
    • 이더리움
    • 4,689,000
    • +4.43%
    • 비트코인 캐시
    • 547,000
    • +1.67%
    • 리플
    • 744
    • +2.2%
    • 솔라나
    • 213,400
    • +4.76%
    • 에이다
    • 612
    • +1.49%
    • 이오스
    • 813
    • +5.58%
    • 트론
    • 194
    • -0.51%
    • 스텔라루멘
    • 146
    • +3.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850
    • +6.01%
    • 체인링크
    • 19,260
    • +4.9%
    • 샌드박스
    • 459
    • +2.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