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춰버린 기적 새로 쓰자] 한국 경제, 커지는 G2 리스크에 먹구름

입력 2014-07-28 10: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준, 양적완화 종료ㆍ금리 인상 등 출구전략 가시화…중국, 부동산버블 붕괴ㆍ부채 급증 등 불안요소 여전해

주요 2국(미국ㆍ중국, G2)의 리스크가 커지면서 한국 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는 기준금리 인상 등 출구전략을 가시화하고 있다. 연준 위원들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지금의 경기회복세가 이어지면 오는 10월 양적완화를 종료하기로 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당초 예정보다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도 커지고 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지난 15일(현지시간) 당분간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밝히면서도 “고용시장이 우리 예상보다 빠르게 개선돼 연준의 두가지 목표인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에 접근한다면 기준금리 인상이 앞당겨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연준이 내년 1분기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대표적 매파인 에스더 조지 캔자스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가 금리 인상에 이미 준비가 됐다”며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연준이 내년 중반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연준의 금리 인상이나 전망에 따라 한국 경제도 요동칠 전망이다. 지난해 5월 벤 버냉키 당시 연준 의장이 처음으로 양적완화 축소를 언급하면서 신흥국들은 자본유출과 통화가치 급락 등 한바탕 홍역을 치러야 했다.

한국은 다른 신흥국보다 상황이 낫다는 평가지만 글로벌 금융시장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안정을 유지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경고했다. 연준이 금리를 올릴 때마다 신흥시장은 극심한 혼란을 겪어야 했다. 1994년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서 멕시코 등 중남미 외환위기를 촉발했고 1997년에도 연준이 3월 금리를 전격적으로 인상하고 나서 우리나라 등 아시아 각국이 외환위기 수렁에 빠졌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금리 인상 시점을 놓치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인상 시기가 너무 늦어지면 자산버블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기 때문이다. 미국증시 다우와 S&P500지수가 올 들어 사상 최고치 경신 행진을 이어가면서 이미 버블에 빠진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중국 경기둔화에 대한 불안도 여전하다. 중국의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7.5%로 전문가 예상치 7.4%를 웃돌고 1년 만에 반등해 시장에 안도감을 줬다.

2분기 성장률은 정부의 올해 경제성장 목표 7.5%와도 부합했다. 이에 HSBC홀딩스는 지난 21일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7.4%에서 7.5%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부동산버블 붕괴와 부채 급증 등 중국 경제 불안요소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이런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경제가 경착륙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이다.

경기둔화 여파로 중국 부동산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6월 중국 70대 도시 가운데 55곳의 주택 가격이 전월 대비 하락했다. 이는 5월의 35곳에서 크게 늘어나고 국가통계국이 해당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많은 도시가 하락세를 보인 것이다.

민간지표도 부동산시장 위축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 최대 온라인 부동산정보업체 소우펀홀딩스가 집계한 6월 100대 도시 주택가격은 전월 대비 평균 0.5% 떨어져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씨티그룹은 최근 보고서에서 올해 중국 부동산가격이 15%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부문은 중국 GDP에서 직간접적으로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노무라홀딩스는 부동산버블이 붕괴하면 중국 경제성장률이 6%대로 추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부채가 늘어나는 것도 문제다.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은 지난 6월 말 기준 중국의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이 251%를 기록했다고 추산했다. 2008년 말 총부채 비율이 147%에 불과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5년 반 만에 부채가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전문가들은 2분기 중국 경제가 호전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빚에 의존해 불안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것일 뿐 건전한 상태로 볼 수 없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지난 6월 사회융자총액은 1조9700억 위안, 신규대출은 1조800억 위안으로 전년보다 배 가까이 늘어났다. 바클레이스는 보고서에서 “지난달 시중에 뿌려진 돈 대부분이 이자를 갚거나 기업 운전자본에 투입되는 등 일시적 용도로 쓰였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강철원 사육사, 푸바오 만나러 중국행…팬 카메라에 포착
  • '나솔사계' 20기 정숙♥영호, 이별 후 재회…"새벽 4시까지 기다려, 35조항 납득"
  • 단독 56년의 대장정…현대차 글로벌 누적생산 1억 대 돌파
  • '연봉 7000만 원' 벌어야 결혼 성공?…실제 근로자 연봉과 비교해보니 [그래픽 스토리]
  • ‘채상병 특검법’ 野주도 본회의 통과...22대 국회 개원식 무산
  • 허웅 전 여친, 유흥업소 출신 의혹에 "작작해라"…직접 공개한 청담 아파트 등기
  • 신작 성적 따라 등락 오가는 게임주…"하반기·내년 신작 모멘텀 주목"
  • '5000원' 백반집에 감동도 잠시…어김없이 소환된 광장시장 '바가지'?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752,000
    • -3.27%
    • 이더리움
    • 4,451,000
    • -4.89%
    • 비트코인 캐시
    • 485,000
    • -8.32%
    • 리플
    • 633
    • -4.38%
    • 솔라나
    • 188,600
    • -5.56%
    • 에이다
    • 532
    • -7.64%
    • 이오스
    • 732
    • -7.81%
    • 트론
    • 184
    • +0.55%
    • 스텔라루멘
    • 127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850
    • -10.4%
    • 체인링크
    • 18,430
    • -4.85%
    • 샌드박스
    • 411
    • -7.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