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모직, 中 동관에 EP 공장 준공… 중국시장 본격 공략

입력 2014-05-15 12: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일모직은 15일 중국 광동성 동관시에 준공한 동관 EP공장에서 휴대폰, TV,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생산을 본격화했다. 사진은 제일모직 동관 EP공장의 생산라인이다. 사진제공 제일모직

제일모직이 중국에서 고부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 양산을 본격화한다.

제일모직 케미칼사업부는 15일 중국 동관(東莞)시에 위치한 동관법인(DSEP)에서 EP 공장을 준공하고 양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동관공장은 약 2만2000㎡ 부지에 건축돼 4개의 생산라인에서 연간 2만700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EP는 자동차 내외장재를 비롯해 휴대폰, 모바일 기기, TV, 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고부가 합성수지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IT, 자동차 기업들에 공급될 예정이다.

이번 화남지역 동관공장 준공으로 화북지역 톈진(天津)공장, 국내 여수공장과 함께 중국 전지역 수요에 적시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생산량 확대와 동시에 지역별 공급체계 확보를 통한 물류비 절감 효과를 거두게 돼 중국시장에 대한 전략적 판매 및 생산 능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앞서 제일모직은 중국 상하이에 영업법인을 설립한 이래, 지난 2010년 톈진에 연간 2만4000톤 규모의 EP공장을 준공해 중국 화북지역을 중심으로 생산거점을 확보했으며, 2012년엔 여수사업장 PC 2공장을 증설하며 폴리카보네이트 생산능력을 연간 24만톤으로 확대해 글로벌 수준의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왔다.

조남성 제일모직 사장은 “중국 최대 시장인 화남지역에 생산거점을 확보함으로써 중국시장에 대한 공급대응력을 한 단계 높이게 됐다”며 “향후 고부가 미래소재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고성장하고 있는 중국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일모직은 지난해 전체 4조4111억원 매출 중 케미칼사업에서 2조7989억원을 기록했다. 케미칼사업부는 지난 4분기 전방시장 수요감소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올해 1분기엔 원가절감 노력과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다시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사업구조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중국시장 매출은 30%를 차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페인, 잉글랜드 꺾고 '4번째 유로 정상'…MVP는 로드리·신인왕 야말 [유로 2024]
  • '따다닥'→주먹 불끈…트럼프 피 흘리는 '사진 한 장'의 나비효과 [이슈크래커]
  • 결혼식 굳이? 미혼남녀 38% "생략 가능" [데이터클립]
  • 2위만 만나면 강해지는 호랑이, 빛고을서 사자 군단과 대격돌 [주간 KBO 전망대]
  • FBI “트럼프 총격범, 단독범행…정신병력 없다”
  • 변우석 측, '과잉경호' 논란에 사과 "현장에서 인지할 수 없어…도의적 책임 통감"
  • 5대銀, 상반기 부실채권 3.2조 털어내…연체율 코로나 이후 최고 수준
  • 사법리스크 ‘최고조’ 달한 카카오…주가 시나리오 따져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952,000
    • +5.14%
    • 이더리움
    • 4,701,000
    • +5.07%
    • 비트코인 캐시
    • 539,500
    • +4.76%
    • 리플
    • 746
    • +1.22%
    • 솔라나
    • 213,600
    • +5.64%
    • 에이다
    • 617
    • +3.18%
    • 이오스
    • 815
    • +6.68%
    • 트론
    • 194
    • +0.52%
    • 스텔라루멘
    • 145
    • +0.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350
    • +8.01%
    • 체인링크
    • 19,470
    • +6.28%
    • 샌드박스
    • 458
    • +4.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