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코오롱, 사고 체육관 준공 후 안전점검 한번도 안해..."또 인재"

입력 2014-02-18 13: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진=연합뉴스)

10명의 사망자를 낸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체육관은 2009년 준공 후 6년간 한번도 공식적인 안전점검을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안전행정부와 코오롱그룹 등에 따르면 마우나오션리조트의 콘도는 작년 11월 정기점검을 받았고, 정밀점검은 2012년 6월 마지막으로 받았다. 당시 콘도의 안전등급은 C등급으로 분류됐다. A(우수), B(양호), C(보통), D(미흡), E(불량) 등으로 나뉘는 등급에서 D등급 이하 진단을 받으면 일정 기간 안에 보수·보강을 해야 한다.

코오롱그룹이 소유한 마우나오션리조트의 콘도는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종 시설물로 분류된다. 특별법에서는 관리 대상 건축물을 1종과 2종 두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1종은 21층 이상, 연면적 5만㎡ 이상, 2종은 16층 이상, 연면적 3만㎡ 이상인 건축물이 해당한다.

붕괴사고가 발생한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은 체육시설로 분류돼 있어 특별법에 따른 안전진단 대상이 아니다.

특별법 관리 대상은 정부가 지정하는 전문기관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받아야 하지만 이런 의무가 없다.

특별법 관리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건물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나 소유주의 책임하에 안전점검을 해야 한다.

문제는 사고가 일어난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체육관은 정기점검 진단에서는 물론, 특별법 관리 대상에서도 피해갔다는 것. 기본법에서는 5000㎡ 이상 건물을 안전점검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2009년 9월 경주시로부터 준공 승인을 받은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은 연면적 1205.32㎡로 기준에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 책임이 철저하게 코오롱에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소유주인 코오롱이 눈이 많이 내린 상황에서 붕괴 사고 등에 대비한 안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네티즌들은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또 인재야"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이럴 줄 알았어"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이러면 안되지"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코오롱 관계자들 엄벌에 처해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임영웅, 박스오피스 점령까지 D-7…압도적 영화 예매율로 기대 키워
  • 최장 9일 '추석 휴가'…"'여기'로 여행을 떠나요" [데이터클립]
  • 양민혁 토트넘 이적으로 주목받는 'K리그'…흥행 이어갈 수 있을까 [이슈크래커]
  • 유한양행 연구개발 승부 통했다…FDA허가, 항암신약 기업 ‘우뚝’
  • 과열 잦아든 IPO 시장…대세는 옥석 가리기
  • ‘유니콘 사업’ 3총사 출격…조주완 LG전자 사장 “2030년 B2B·신사업서 영업익 76% 달성” [종합]
  • "'힌남노' 수준 초강력 태풍, 2050년대엔 2~3년마다 한반도 온다"
  • 美 SEC, 솔라나 ETF 서류 반려…“올해 승인 확률 ‘제로’, 트럼프가 희망”
  • 오늘의 상승종목

  • 08.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3,080,000
    • +2.04%
    • 이더리움
    • 3,579,000
    • +0.53%
    • 비트코인 캐시
    • 476,700
    • +3.92%
    • 리플
    • 814
    • -0.37%
    • 솔라나
    • 194,200
    • -1.37%
    • 에이다
    • 504
    • +6.33%
    • 이오스
    • 700
    • +3.7%
    • 트론
    • 212
    • -1.4%
    • 스텔라루멘
    • 134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350
    • +3.96%
    • 체인링크
    • 15,360
    • +9.32%
    • 샌드박스
    • 372
    • +3.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