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업계 지난해 최대 실적 거둬… “현지화 전략 통했다”

입력 2014-01-07 09: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입차 업계가 지난해 국내 판매량 15만대 이상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국내 소비자의 기호를 고려한 현지화 전략이 통했다는 분석이다.

7일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작년 수입차 판매량은 15만6497대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판매대수 13만858대 보다 19.6% 늘어난 수치다. 수입차 판매는 2003년 1만9481대 집계 이후 10년동안 7배 가까이 성장했다.

수입차가 국내 시장에서 괄목할만한 성적을 거둔 배경에는 자동차 회사들의 현지화 전략이 있었다. 수입차 업체들은 국내 소비자의 선호를 고려해 2000cc미만 소형차, 연비 좋은 디젤차, 산악지형에 유리한 4륜차로 국내 시장을 공략했다.

지난해 수입차 판매 가운데 배기량 2000cc 미만인 소형차 판매는 전체 수입차 판매 비중의 절반이 넘는 54%를 차지했다. 전체 판매량 가운데 디젤차가 차지한 비중도 62%에 달했다. 특히 2012년 대비 가솔린 차량 판매는 8% 가량 감소한 반면에 디젤 차량 판매는 46% 늘어나 국내 소비자의 디젤차에 대한 인기를 실감케 했다.

4륜차에 대한 인기도 꾸준하다. 국내 특유의 산악지형과 겨울철 눈길·빙판길 등 험로 주행에서의 장점 때문에 4륜 구동차 수요가 상당하다. 지난해 11월 기준 아우디 A6 전체 판매량 가운데 4륜 구동인 쿼트로 판매 비율은 62%에 이른다. 또 BMW5와 벤츠 E클래스 판매량 가운데 4륜 구동이 차지한 비중은 각각 21%, 18%에 달했다.

현지화 전략을 통한 수입차 업계의 공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처음으로 메르세데스-벤츠를 제치고 수입차 시장 2위 자리를 꿰찬 폭스바겐은 올해 3만대 판매를 목표로 삼았다. BMW도 올해 소형차의 비중을 확대하며 국내 소비자를 공략할 계획이다.

수입차 업계는 올해 17만4000여대를 판매하며 지난해 대비 10% 이상 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소비자들이 고연비, 소형차를 선호하면서 수입차의 디젤 소형차 영역이 넓어졌다”며 “겨울철 운전과 산악지형 등의 이유로 4륜차를 선호하는 양상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더 우울해진 한국인…10명 중 7명 "정신건강에 문제" [데이터클립]
  • ‘최애의 아이 2기’ 출격…전작의 ‘비밀’ 풀릴까 [해시태그]
  • '바이든 리스크' 비트코인, 5만5000달러로 급락…4개월 만에 최저치 내려앉나 [Bit코인]
  • 현아·용준형 진짜 결혼한다…결혼식 날짜는 10월 11일
  • '우승 확률 60%' KIA, 후반기 시작부터 LG·SSG와 혈투 예고 [주간 KBO 전망대]
  • 맥북 던진 세종대왕?…‘AI 헛소리’ 잡는 이통3사
  • [기회의 땅 아! 프리카] 불꽃튀는 선점 전쟁…G2 이어 글로벌사우스도 참전
  • 국산 신약 37개…‘블록버스터’ 달성은 언제쯤? [목마른 K블록버스터]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0,030,000
    • -0.86%
    • 이더리움
    • 4,264,000
    • +0.97%
    • 비트코인 캐시
    • 469,700
    • +4.35%
    • 리플
    • 607
    • +0.5%
    • 솔라나
    • 198,100
    • +3.23%
    • 에이다
    • 521
    • +4.2%
    • 이오스
    • 722
    • +1.98%
    • 트론
    • 179
    • +0%
    • 스텔라루멘
    • 121
    • -0.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050
    • +1.49%
    • 체인링크
    • 18,240
    • +2.76%
    • 샌드박스
    • 411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