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헬스케어금융’ 고전… 정부는 팔짱만

입력 2013-07-05 10: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활성화 위해 세제 혜택 등 지원 필요…부처간 대립에 난항

우리은행이 올해 초 금융권 처음으로 내놓은 의료관광과 금융서비스를 결합한 헬스케어(건강관리) 금융상품이 기대 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헬스케어 금융상품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세제 혜택과 관련 보험 등의 정부 지원 필요하지만 부처간 이해관계로 금융권 창조사업이 빛도 못보고 폐기 처분될 위기에 처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올초 신성장동력으로 해외 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관광사업을 시작했지만 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당초 우리은행은 10여곳의 병원과 추가 협약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제휴를 맺은 병원은 청심국제병원 한 곳뿐이다.

의료관광과 금융서비스를 접목한 헬스케어 금융상품은 의료관광객이 급증과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하고자 하는 금융회사의 필요가 맞물린 결과물로 은행권 전체로 확대될 추세였다.

지난해 외국인 환자수는 15만5672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27.3%나 늘었고 총 진료 수입도 2391억원으로 32.1%나 급증했다. 하지만 제도적 미비점과 병원 및 관광객의 요구사항이 엇갈리면서 헬스케어사업이 좀처럼 활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헬스케어 금융상품은 의료관광객이 일정 금액을 우리은행 계좌에 넣어 놓으면 우리은행이 해당 의료관광객의 계좌에서 병원비를 안정적으로 차감해 주는 방식이다. 인지도가 낮은 병원은 금융기관의 신뢰도를 이용해 의료관광객을 더 쉽게 유치할 수 있고 의료관광객은 우리은행을 통해 자금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의료관광객과 병원의 가교 역할을 하는 우리은행은 거액의 자금을 관리하면서 환전 등 자금 이익을 취할 수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의료관광객이 증가하고 있지만 수요가 많은 대형병원은 환자를 유치할 공간이 부족하고 반면 중소형 병원은 투명한 세원 노출로 제휴 맺기를 꺼린다”며 “의료관광객이 현금보다 카드결제를 선호하는 것도 상품 활성화의 걸림돌”이라고 말했다.

의료관광 금융시장을 양성화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부처간 이해 관계가 첨예해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의료관광 금융상품을 하나의 수출상품으로 보고 수출입 세제 혜택을 주거나 의료사고 발생 시 의료관광객에 보험금을 지급하는 등의 백보험을 제공해 의료관광객과 병원 양측의 비용을 절감해 주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시장 양성화, 신뢰 형성, 비용 절감, 서비스 확대 등을 점진적으로 이룰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혼돈의 미 대선'에 쭉쭉 오르는 비트코인…6만8000달러 돌파 [Bit코인]
  • [종합] 미국 대선구도 급변...바이든, 사퇴압박에 재선 포기
  •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각축전…‘반지의 제왕’은 삼성?
  • '학전' 김민기 대표 별세…'아침이슬' 등 명곡 남긴 예술인
  • [중앙은행 게임체인저 AI] 파월 대신 챗GPT가?...“금리 결정 인간 몫이나 예측은 가능”
  • 입주물량 매년 10만 가구씩 '뚝뚝'…착공 실적은 역대 최저 수준[부동산시장 3대 절벽이 온다①]
  • 시청률로 본 프로야구 10개 구단 인기 순위는? [그래픽 스토리]
  • "귀신보다 무서워요"…'심야괴담회' 속 그 장면, 사람이 아니었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22 13: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95,000
    • +0.27%
    • 이더리움
    • 4,895,000
    • -0.67%
    • 비트코인 캐시
    • 557,000
    • +0.27%
    • 리플
    • 828
    • -0.84%
    • 솔라나
    • 252,600
    • +3.91%
    • 에이다
    • 613
    • +0.16%
    • 이오스
    • 840
    • -1.98%
    • 트론
    • 189
    • +0.53%
    • 스텔라루멘
    • 144
    • -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050
    • -2.18%
    • 체인링크
    • 20,160
    • +1.36%
    • 샌드박스
    • 476
    • -2.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