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공헌 크지만 정치권선 뭇매

입력 2012-03-13 11: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업이 强해야 나라가 强하다]⑥'다같이 잘사는 사회' 앞장

매년 가을, 프로야구 최강자를 가리는 한국시리즈 최종전이 있는 날이면 많은 사람들의 이목이 야구장으로 쏠린다. 또 겨울부터 이듬해 봄까지는 프로농구와 프로배구에 국민들이 열광하면서 삶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곤 한다.

이처럼 국민들의 여가활동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프로스포츠의 중심에는 삼성, 현대차, SK, LG와 같은 대기업이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스포츠구단을 운영하면 매년 적게는 수십억원에서 많게는 수백억원까지 적자가 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대기업들은 기업의 본질적 가치인 ‘이윤창출’과는 상충되지만, 지속적으로 프로스포츠구단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 최대 그룹인 삼성그룹의 경우 삼성라이온즈(프로야구), 블루윙즈(프로축구), 썬더스(프로농구), 블루팡스(프로배구) 등 전 분야에 걸쳐 스포츠 구단을 운영하고 있다. 현대차그룹도 삼성그룹과 마찬가지로 야구·축구·농구·배구 등 국내 4대 프로스포츠구단을 모두 운영하면서 국민들의 여가생활을 돕고 있다. 대기업들의 스포츠 관련 사업 투자는 단순히 프로 스포츠에만 국한되지 않고 핸드볼, 레슬링, 럭비, 테니스 , 태권도 등 비인기 아마추어 종목까지 확대돼 국내 체육발전과 선수들의 권익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

프로스포츠구단 운영을 하고 있는 그룹들은 “홍보효과라는 이점도 있지만 이는 창단 초기에 불과하다”며 “국내 프로스포츠시장이 정착이 된 지금은 국민과 사회에 대한 서비스 측면이 더 강하다”고 입을 모았다. 단순한 기업 브랜드 홍보효과 만을 노린 것이라면 사실상 지속하기 불가능한 사업이라는 설명이다.

또 최근에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후원인 메세나 활동도 적극적으로 하면서 예술·문화 선진국 도약에도 적잖은 기여를 하고 있다.

대기업들은 사회적 책임(CSR) 실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실제로 대기업들의 사회공헌은 매년 그 규모가 커지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국내 주요 기업들의 사회공헌 지출비용은 총 2조873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9년(2조6517억원)에 비해 약 8.4% 증가한 수치이며, 2008년(2조1601억원)보다는 무려 33%나 늘어났다.

기업별 평균 사회공헌비용도 2009년 120억5300만원에서 2010년 130억6100만원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매출액 대비 사회공헌 지출규모도 0.23%로 경제 선진국인 미국(0.1%)과 일본(0.09%)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2010년 주요 기업들의 사회공헌 지출비용 2조8735억원은 국내 최대 화학기업인 LG화학의 지난해 영업이익과 비슷한 규모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1년 농사를 통해 얻은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대기업들이 사회공헌을 강화하는 데에는 생존이 가장 큰 이유 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경영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기업들이 살아남지 못한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내 대기업들의 사회공헌 활동도 점차 진화하고 있다. 연말연시 일회성 지원에서 벗어나 사회소외계층들이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 사회공헌 영역도 광범위되고 있는 것.

사실상 막대한 자본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사회공헌사업은 대기업이 아니면 지속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지난해 말 주요 대기업들이 기부한 연말연시 이웃돕기 성금 규모도 경영환경이 불투명함에도 불구하고 예년 수준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늘렸다. 삼성그룹은 지난해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전년대비 50% 늘어난 300억원을 성금으로 냈고, 현대차그룹도 150억원의 성금을 냈다. 현대중공업, 롯데, GS그룹도 2010년보다 30~40% 증가한 금액을 기부하는 등 사회공헌에 대기업들의 기여도는 점점 커지고 있다.

이처럼 대기업들의 자발적인 사회적 책임 실천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민과 중소기업을 빌미 삼아 정부나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지는 것에 대한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로 평가받는 피러 드러커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면서도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그리고 업의 범주 안에서 실효성 있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국 정부나 정치권의 압력보다는 기업 스스로 사회공헌을 강화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대기업 관계자는 “기업은 본질적으로 소비자와 연결되어 있다”며 “기업의 생존문제와 직결되기도 하지만 대기업 스스로 국민 삶의 질 제고에 기여를 한다는 자부심도 사회공헌 확대를 하는 또 다른 이유”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56년의 대장정…현대차 글로벌 누적생산 1억 대 돌파
  • '연봉 7000만 원' 벌어야 결혼 성공?…실제 근로자 연봉과 비교해보니 [그래픽 스토리]
  • ‘채상병 특검법’ 野주도 본회의 통과...22대 국회 개원식 무산
  • 허웅 전 여친, 유흥업소 출신 의혹에 "작작해라"…직접 공개한 청담 아파트 등기
  • 신작 성적 따라 등락 오가는 게임주…"하반기·내년 신작 모멘텀 주목"
  • '5000원' 백반집에 감동도 잠시…어김없이 소환된 광장시장 '바가지'? [이슈크래커]
  • '시청역 역주행' 사고 운전자 체포영장 기각된 까닭
  • 임영웅, 광고계도 휩쓸었네…이정재·변우석 꺾고 광고모델 브랜드평판 1위
  • 오늘의 상승종목

  • 07.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3,470,000
    • -1.93%
    • 이더리움
    • 4,510,000
    • -3.26%
    • 비트코인 캐시
    • 490,800
    • -6.87%
    • 리플
    • 635
    • -3.79%
    • 솔라나
    • 193,000
    • -3.31%
    • 에이다
    • 542
    • -5.57%
    • 이오스
    • 738
    • -6.94%
    • 트론
    • 183
    • -0.54%
    • 스텔라루멘
    • 12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800
    • -9.2%
    • 체인링크
    • 18,670
    • -4.11%
    • 샌드박스
    • 418
    • -6.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