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돋보기]아파트 리모델링, 수직 증축과 일반 분양 허용해야

입력 2011-11-28 11:00 수정 2011-11-28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백성운 한나라당 의원, ‘주택법 개정안’ 발의

▲백성운 한나라당 의원
일산·분당·평촌 등 수도권 1기 신도시를 비롯해 지난 90년대 초에 세워진 대부분의 아파트는 시설이 낡고 내부 구조가 불편해 개·보수가 절실한 실정이다.

2011년 현재 지은 지 15년 이상 된 노후 아파트는 전국적으로 310만호, 서울에만 60만호나 된다. 이런 노후 아파트는 앞으로 매년 30만호 안팎 늘어난다.

그런데도 이에 대한 뾰족한 대책은 없다.

현재로선 아파트 리모델링이 가장 적합한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재건축은 사업성이 떨어지고 친환경 녹색성장 패러다임에도 배치된다. 대개 40년 이상이 돼야 재건축을 할 수 있는 등 규제도 까다롭다.

리모델링은 기존 골조를 유지하면서 증축을 통해 주차장 문제, 불편한 주거 구조, 노후 배관 문제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단열 성능 및 고효율 설비 보강까지 하는 자원 절약형 녹색사업이다. 게다가 첨단공법으로 내진 기능까지 보강, 아파트 구조 안전성도 더욱 강화된다.

그런데 현행 주택법상으로는 전·후방 수평 증축만 할 수 있고, 수직 증축과 일반 분양은 할 수 없다. 리모델링을 하고 싶어도 사업비 부담이 커 서민들은 그야말로 그림의 떡이다.

리모델링을 활성화하는 요체는 바로 수직 증축과 일반 분양을 허용해 입주민들의 사업비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다.

이에 지난 7월 2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주택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리모델링에 의해 증가되는 면적의 일부를 세대수를 증가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모델링을 활성화시키고 입주민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했다.

물론 리모델링을 할지 말지 여부는 아파트 입주민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이와 별개로 리모델링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이번에 반드시 마련해둬야 한다.

현재 비슷한 내용을 담은 주택법 개정안 3건이 더 발의돼 있다.

하지만 지난번 한미FTA 비준동의안 처리와 관련해 야당이 정기국회 의사일정을 보이콧해 법안 심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국회가 하루 빨리 정상화돼 주택법 개정안 심사가 이뤄지고, 아파트 리모델링을 원하는 주민들이 바라는 대로 수직 증축과 일반 분양을 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기를 기대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더 우울해진 한국인…10명 중 7명 "정신건강에 문제" [데이터클립]
  • ‘최애의 아이 2기’ 출격…전작의 ‘비밀’ 풀릴까 [해시태그]
  • "이별 통보하자…" 현직 프로야구 선수, 여자친구 폭행해 경찰 입건
  • 블랙핑크 제니, 실내흡연?…자체 제작 브이로그에 딱 걸렸다
  • 설욕전 대성공…'최강야구' 강릉영동대 직관전, 니퍼트 150km 대기록 달성
  • 경북 청도 호우경보 '폭우 또'…포항·경산·경주·영천·고령도 유지
  • [종합] 뉴욕증시, S&P·나스닥 최고치 경신에도...파월 발언 앞두고 혼조
  • '발등에 불' 네카오 경영전략…이해진·김범수의 엇갈린 행보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0,421,000
    • +0.25%
    • 이더리움
    • 4,293,000
    • +2.78%
    • 비트코인 캐시
    • 473,800
    • +5.69%
    • 리플
    • 612
    • +2.17%
    • 솔라나
    • 199,000
    • +5.12%
    • 에이다
    • 523
    • +5.44%
    • 이오스
    • 727
    • +3.71%
    • 트론
    • 180
    • +1.69%
    • 스텔라루멘
    • 122
    • +1.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800
    • +4.04%
    • 체인링크
    • 18,590
    • +5.81%
    • 샌드박스
    • 412
    • +1.7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