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재정감축안 의회 승인 절차 마무리

입력 2011-07-16 08: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시장 안정시킬 수단 확보...2014년까지 GDP 대비 적자 0.2%로 낮출 것

이탈리아 정부가 마련한 재정적자 감축안이 의회 승인 절차를 마무리했다.

하원은 15일(현지시간) 오는 2014년까지 재정적자 규모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0.2%로 낮추는 내용의 재정감축안을 승인했다.

전일 상원 통과에 이어 재정감축안 실행을 위한 의회의 승인 절차를 모두 마쳐 금융시장의 동요를 안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확보했다.

이탈리아 하원은 이날 총 480억 유로(약 72조2000억원)에 달하는 재정감축안을 찬성 316표, 반대 284표로 가결했다.

앞서 상원은 전일 찬성 161표, 반대 135표, 기권 3표로 재정감축안을 통과시켰다.

재정감축안은 공무원 급여 동결과 보건의료 서비스 비용 인상 등을 통해 지난해 말 GDP 대비 4.6%에 달했던 재정적자를 2014년까지 0.2%로 낮추는 내용이 골자다.

당초 이탈리아 정부가 마련한 재정감축안의 규모는 400억유로였지만 유로존(유로화 사용국) 안정화를 위해서는 더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권고에 따라 480억유로로 늘렸다.

중도좌파 야당은 보건의료 서비스를 비롯한 공공 서비스 비용 인상 등에 강력 반대했으나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고 유로존 재정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 재정감축안의 신속한 승인이 필요하다는 줄리오 트레몬티 경제장관의 호소로 일단 의회 통과 절차는 순조롭게 마무리됐다.

재정감축안 처리를 정부 신임과 연계한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총리는 재신임을 얻게 됐다.

베를루스코니 총리는 “이탈리아 국민에게 약속한 대로 재정 압박을 덜어주고 싶지만 지금은 매우 힘든 순간이며 그렇게 하는 것이 불가능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조르지오 나폴리타노 대통령은 재정감축안 통과를 ‘기적’이라고 표현하면서 “정부와 야당이 높은 책임감을 보여준 것”이라고 강조했다.

차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내정자인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중앙은행 총재는 “성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경제를 구조적으로 개혁하는 등 재정감축안을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내 3위 경제국인 이탈리아는 부채 비율이 GDP 대비 120%로 역내에서 2번째로 높은 상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인은 정말 활을 잘 쏠까?…'주몽의 후예' Z기자가 직접 확인해봤다 [Z탐사대]
  • '최강야구' 촬영본 삭제·퇴출 수순일까?…'대낮 음주운전' 장원삼 접촉사고 후폭풍
  • ‘실적 질주’ 토스증권 vs ‘적자늪’ 카카오페이증권…원인은 10배 차이 ‘해외주식’
  • 임영웅, 박스오피스도 점령하나…영화 개봉 12일 전부터 '예매율 1위'
  • ‘8만전자’ 회복, ‘20만닉스’ 코앞…반도체주 열흘만에 회복
  • '방탄소년단' 뷔ㆍ정국, 장원영 이어 '탈덕수용소' 고소…9000만원 손배소 제기
  • "서울 국민평형 분양가 평당 4433만 원"…1년 새 서울 아파트 분양가 37% 올랐다
  • 증시 ‘상폐’ 위기감 커졌다…감사의견 ‘비적정’ 기업 1년 새 64% ‘껑충’
  • 오늘의 상승종목

  • 08.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947,000
    • +0.83%
    • 이더리움
    • 3,640,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475,200
    • +1.13%
    • 리플
    • 789
    • +0.64%
    • 솔라나
    • 197,900
    • +2.65%
    • 에이다
    • 470
    • +2.4%
    • 이오스
    • 695
    • +1.31%
    • 트론
    • 188
    • +0.53%
    • 스텔라루멘
    • 133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700
    • +0.84%
    • 체인링크
    • 14,120
    • +0.57%
    • 샌드박스
    • 348
    • +0.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