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경제 7대 아킬레스건

입력 2011-04-06 10: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품가격 상승 등 경기회복에 걸림돌

글로벌 경제에 대한 낙관론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회복을 방해하는 요인들이 있어 주목된다.

미 시사주간지 US뉴스앤월드리포트는 최근 중동 불안과 일본 대지진 등이 세계 경제 낙관론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면서 글로벌 경제회복을 지연시키는 7대 주범을 지적했다.

US뉴스는 먼저 유가 등 상품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점을 경기회복 지연 이유로 꼽았다.

미국 최대 시장조사기구인 AAA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내 평균 무연휘발유 가격은 전월보다 23센트 오른 갤런당 3.58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78센트 뛴 것이다.

중동 민주화 시위 사태로 석유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며 국제유가도 고공행진 중이다.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밑으로 떨어질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심리지수(CSI)가 하락한 점도 경제성장을 둔화시키고 있다.

톰슨로이터와 미시간대가 발표한 지난달 CSI는 전월의 77.5에서 67.5로 급감했다. 이는 지난 2009년 11월 이래 최대 낙폭이다.

바클레이스캐피탈의 테레사 첸 분석가는 "지난달 상품 가격 상승으로 가정 수입과 개인 지출이 모두 감소함에 따라 CSI가 급감했다"고 설명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2차 양적완화 종료도 경제성장에 장애 요인이 될 전망이다.

시장에서 연준과 같은 대규모 투자자가 빠진다면 그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다음 타자가 나타날지 불투명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연준이 국채매각에 6000억달러를 쏟아부은 2차 양적완화 정책은 오는 6월 종료될 예정이다.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주택시장도 경제회복을 지체시키고 있다.

30년물 고정 모기지 금리는 최근 사상 최저 수준인 5.1%를 유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모기지 금리가 낮으면 기존 모기지를 차환하거나 새로운 대출을 받는데 부담이 줄어들어 신규 주택 구매가 늘게 마련이지만 현재 상황은 그렇지 않다고 US뉴스는 전했다.

미국의 실업률도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는 골칫거리다.

지난 2월 비농업 부문 일자리는 19만2000개 증가했지만 실업률은 8.9%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유럽 재정위기 우려는 세계 경제회복을 지속적으로 지연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지난달 포르투갈 정부의 긴축안 부결에 따라 구제금융이 기정사실화하면서 남유럽발 재정위기 우려가 재부상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경제회복의 최대 걸림돌은 원자력발전소 위기에 직면한 일본이다.

일본은 원전 위기 뿐만 아니라 사상 최악의 재정적자라는 문제로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KRX 지수 상승률 상위 5개 중 4개가 이 업종…“금리 인하 시작하면 더 좋아요”
  • '손흥민 멀티골' 토트넘, 에버튼에 4-0 완승…16경기 만에 홈경기 무실점
  • '아이돌 명가' SM도 참전한다고?…플레이브가 불붙인 '버추얼 아이돌' 대전 [솔드아웃]
  • '삼시세끼' 이주형 PD, 야근 후 퇴근길에 교통사고로 사망
  • '전참시' 박위♥송지은, 본식 드레스 착용 중 눈물…"디즈니 공주님 같아"
  • 윤석열 대통령, 내달 체코 방문…삼성·SK·LG 총수 경제 사절단으로 동행
  • 애플, 아이폰16ㆍ애플워치10 등 내달 10일 발표 전망
  • '에이리언: 로물루스' 개봉 11일 만에 100만 관객 돌파…흥행 예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8.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930,000
    • +0.57%
    • 이더리움
    • 3,701,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482,000
    • +0.1%
    • 리플
    • 813
    • +0%
    • 솔라나
    • 212,400
    • +3.91%
    • 에이다
    • 517
    • -0.96%
    • 이오스
    • 730
    • -1.88%
    • 트론
    • 210
    • -1.87%
    • 스텔라루멘
    • 137
    • +0.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350
    • -0.48%
    • 체인링크
    • 16,180
    • +0.56%
    • 샌드박스
    • 398
    • -0.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