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분' 약한 외제차 보험료 인상론

입력 2010-10-29 16: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들어 손해율 개선…위험등급도 확대

외산차의 보험료 인상 방안이 검토되고 있지만 사실상 인상에 대한 명분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외산차의 손해율이 개선된데다 지난 4월 차량 모델별 위험등급 확대로 이미 보험료 인상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금융당국은 외산차 보험료가 국산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며 보험료를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외산차의 보험료가 국산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반면 손해율은 오히려 높아 국산차 가입자가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보험개발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임영호 자유선진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9 회계연도에 자기차량 손해보험에 가입한 차량을 기준으로 국산차 손해율은 71.9%인 반면 외산차는 96.0%에 달했다.

또한 외산차 수입보험료는 국산차의 13.6% 수준이지만 보험금은 전체의 18.1%를 받아가 국산차 운전자가 낸 보험료의 일부가 외제차 보험금으로 쓰이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보험업계에 따르면 2010 회계연도 1분기·2분기(2010년 4월~9월) 평균 국산차의 손해율은 87.9%, 외산차는 85.6%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비해 오히려 외산차 손해율이 낮아진 것이다. 때문에 외산차 보험료를 올리는데 손해율 악화를 이유로 들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외산차는 지난 4월 차량모델별 위험등급의 확대로 이미 자차보험료가 인상된 상태다. 매년 차량모델별 위험등급을 조정하는 보험개발원이 올해는 외산차를 기존 11등급에서 21등급으로 확대하면서 평가기준이 조정됐기 때문이다.

당시 외산차 26개 차량모델 중 랜드로버를 제외한 25개의 외산차량의 등급이 악화되면서 최고 30% 가량 자차보험료가 인상됐다.

보험업계 관계자는“외산차가 늘어나면서 지난해 제작사별 위험등급에서 올해 차량모델별로 좀더 세분화됐다”면서 “이후 보험료가 올라가고 손해율도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당국 역시 자동차보험 개선을 위해 외산차 보험료 인상을 검토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어느 국산차가 국산차와 사고가 나든 외제차와 나든 지급하는 보험금은 똑같은데 외제차에게만 일괄적으로 보험료를 인상한다는 것은 역차별의 여지가 있다”며 “외제차 보험료 인상을 고려는 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거나 기준을 정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생일 축하해” 루이바오·후이바오의 판생 1년 [해시태그]
  • 축구협회, 국가대표팀 사령탑에 홍명보 감독 내정
  • [날씨] "출근길 우산 챙기세요" 수도권 천둥·번개 물폭탄…무더위는 계속
  • 맥북 던진 세종대왕?…‘AI 헛소리’ 잡는 이통3사
  • [기회의 땅 아! 프리카] 불꽃튀는 선점 전쟁…G2 이어 글로벌사우스도 참전
  • 국산 신약 37개…‘블록버스터’ 달성은 언제쯤? [목마른 K블록버스터]
  • “이마트 ‘노브랜드’ 발품 팔아 찾은 가성비...해외서도 통했죠”[단독 인터뷰]
  • ‘평생 트라우마’ 학교폭력, 더 심해지고 다양해졌다 [학교는, 지금 ①]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10:5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8,576,000
    • -4.73%
    • 이더리움
    • 4,079,000
    • -5.8%
    • 비트코인 캐시
    • 435,200
    • -9.09%
    • 리플
    • 586
    • -7.28%
    • 솔라나
    • 185,200
    • -7.54%
    • 에이다
    • 481
    • -7.68%
    • 이오스
    • 681
    • -7.72%
    • 트론
    • 176
    • -4.86%
    • 스텔라루멘
    • 116
    • -9.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240
    • -7.94%
    • 체인링크
    • 17,240
    • -7.26%
    • 샌드박스
    • 393
    • -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