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식량증산 실패...제2의 식량파동 오나

입력 2010-09-27 09:22 수정 2010-09-27 09: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위기 여파...밀ㆍ옥수수 가격 40% 이상 급등

아시아의 개발도상국 및 극빈국의 식량증산 계획이 금융위기 여파로 중단 또는 연기되면서 제2의 식량파동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러시아의 가뭄 등으로 전세계 식량가격이 급등하고 아시아 지역의 식량증산 계획이 실패하면서 지난 2007~2008년의 식량 위기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불안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2005~2010년 국제 밀 가격 추이(시카고선물거래소)

러시아가 가뭄으로 밀 수출 금지를 취한 지난 6월말 이후 밀과 옥수수 가격은 40% 이상 올랐고 극빈국의 주요 식량자원인 쌀 가격 또한 급등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곡물 가격 상승세가 2007~2008년 식량 파동에 비해서는 완만하고 전세계 곡물 재고가 충분하기 때문에 경기회복세 둔화로 식량가격 폭등세가 일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개도국 및 극빈국에서는 소비자 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식료품 가격 상승에 대해 우려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베트남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식량 가격 급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8.9% 올라 전월의 8.18%에 이어 급등세를 이어갔다. 이 같은 상황은 다른 아시아 국가도 마찬가지다.

일부 전문가들은 곡물 가격이 다시 내린다고 하더라도 아시아 지역의 식량증산에 대한 투자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공급이 수요를 맞출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워싱턴 소재 국제식량정책연구소(IRRI)의 맥시모 토레로 애널리스트는 “개도국에서 지난 2008년 이후 식량증산을 위한 장기적인 인프라 구축 작업이 매우 부진했다”고 지적했다.

IRRI에 따르면 개도국은 식량수요를 맞추기 위해 농업부문 투자에 연 2090억달러(약 241조원)를 투자해야 한다. 이는 지난 1997~2007년 개도국 연 평균 투자액에서 47% 증가한 수치다.

국제연합(UN)의 조사에 의하면 세계 77개 극빈국의 곡물 수입금액은 지금까지 278억달러로 전년에 비해 8% 늘었다.

프로세소 알칼라 필리핀 농업장관은 “현재 농업투자 계획은 서류상에만 있고 실제로는 이뤄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면서 “오는 2013년까지 쌀 자급자족을 이룬다는 목표를 위해 관개사업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언급했다.

필리핀 농업부의 한 관리는 “현재 25만헥타르의 땅이 묵힌 채로 있다”면서 “자본투자 부족 등의 문제로 농부들이 이들 토지를 경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강야구' 연세대의 반격, 역전 허용하는 최강 몬스터즈…결과는?
  • 한화생명e스포츠, 8년 만에 LCK 서머 우승…젠지 격파
  • 티메프 피해자들, 피해 구제‧재발 방지 특별법 제정 촉구…"전자상거래 사망 선고"
  • 의료계 “의대증원, 2027년부터 논의 가능”
  •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AI 끝이 없다…삼성 AI 제품, 기대치 30%”
  • 현대차 ‘아이오닉 6’, 美 자동차 전문 매체서 ‘최고 전기차’ 선정
  • '장애인 귀화 1호' 패럴림피언 원유민, IPC 선수위원 당선 [파리패럴림픽]
  • 봉하마을 간 이재명, 권양숙 만나 "당에서 중심 갖고 잘 해나가겠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9.0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3,786,000
    • -0.09%
    • 이더리움
    • 3,087,000
    • -0.55%
    • 비트코인 캐시
    • 409,000
    • +0.22%
    • 리플
    • 714
    • -0.7%
    • 솔라나
    • 174,800
    • +0.75%
    • 에이다
    • 459
    • +4.08%
    • 이오스
    • 634
    • +0%
    • 트론
    • 208
    • +0.97%
    • 스텔라루멘
    • 122
    • +0.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800
    • -0.66%
    • 체인링크
    • 13,930
    • +2.05%
    • 샌드박스
    • 329
    • +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