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③ 선진국 덮치는 'D'의 공포

입력 2010-06-14 10:06 수정 2010-06-17 06: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글로벌 그린슈트 논란 확산

(편집자주: 유럽발 재정위기 사태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경제의 회복을 의미하는 그린슈트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선진경제 주도로 위기가 커지고 있다는 주장과 최악의 상황은 지났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5회에 걸쳐 글로벌 경제 현황과 전망을 분석한다)

(글 싣는 순서)

① 글로벌 경기회복 '새싹' 트나

② 채권시장에 선진국 국채가 넘친다

③ 선진국 덮치는 'D'의 공포

④ 유럽 재정위기 어디로

⑤ 中 글로벌 경제 구원투수 될까

선진 경제가 'D(Deflation, 디플레이션)' 악령에 떨고 있다.

재정위기 사태로 휘청거리는 유럽은 물론 미국 역시 디플레 조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재정적자 축소를 위한 지출 억제와 세금 인상 역시 경제에 부담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주요국 소비자물가가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재정위기 사태와 이에 따른 디플레의 악순환이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디플레가 확산될 경우 소비자와 기업, 정부 모두 부채 탕감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추이(출처: 미노동부)

물가가 하락하면서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이 정체될 뿐만 기업 입장에서는 상품 가격의 인상 여지가 좁아진다.

정부 역시 주머니가 얇아진 국민과 기업을 대상으로 세금을 확대하는 것이 어렵게 되면서 재정적자를 줄이는데 한계를 느낄 수 밖에 없게 된다.

미국의 경우 가계 부채는 지난 2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태다. 연방준비제도(Fed)에 따르면 1분기 가계부채는 13조5000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08년의 13조9000억달러에 비하면 감소한 것이지만 여전히 평균 이상이다.

전문가들은 경제성장이 예상보다 둔화될 경우 미국경제에 디플레가 본격화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물가에 민감한 채권시장을 통해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고 WSJ는 전했다. 인플레 기대심리를 반영하는 10년만기 국채 수익률은 현재 3.3% 수준. 지난 4월초 4%에 비하면 0.7%포인트 급락한 것이다.

앤소니 샌더스 조지메이슨대학 교수는 "디플레 신호가 분명히 보인다"면서 "(연준의) 내 친구들은 동의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은행권에 자금이 돌지 못할 경우 디플레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제는 통화당국 역시 디플레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다는 사실이다. 연준이 유례없는 초저금리 정책을 지속하고 있지만 경제가 본격적으로 살아나고 있다고 확신하기에는 아직 이른 상황이다.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지난 5월 전년 대비 2.2% 상승했지만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물가는 0.9% 오르는데 그쳤다. 이는 1966년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마크 거틀러 뉴욕대 교수는 "올해 미국 경제는 3~4% 성장하고 인플레는 1.0~1.5%를 기록할 것"이라면서 "인플레보다 디플레 위험이 더욱 크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물가변동형채권(TIPS) 금리 역시 시장의 디플레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 5년물 TIPS 금리를 통해 투자자들은 앞으로 5년 뒤 물가가 2.7% 상승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이는 지난 4월의 3.1%에 비해 0.4%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영국 역시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영란은행(BOE)의 아담 포센 금융정책위원회 위원은 "영국과 미국이 일본과 같은 상태에 빠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디플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유럽에서는 아일랜드가 이미 디플레를 경험하고 있는 상태다. 아일랜드의 지난 5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1.1%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외환시장의 움직임이 디플레 논란에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메릴랜드대학의 카르멘 레인하트 교수는 "유로의 약세는 유럽을 디플레에서 구할 수 있다"면서 "연준의 공격적인 정책 역시 미국경제의 디플레 가능성을 줄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데드풀과 울버린', 이대로 '마블의 예수님' 될까 [이슈크래커]
  • 유아인, 이번엔 30대 남성 성폭행 혐의로 고소당해
  • [날씨] 전국 대부분 체감 35도 불볕더위…밤에는 열대야 경보
  • 2024 파리올림픽 한국선수 주요 경기일정 정리 [그래픽 스토리]
  • 연 최대 4.5% 금리에 목돈마련과 주택청약까지…'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십분청년백서]
  • [2024 세법개정] 상속세 25년만 손질, 최고세율 50%→40%…종부세는 제외
  • 효자템 ‘HBM’ 기술 개발 박차…SK하이닉스, 하반기도 AI 반도체로 순항
  • 美 증시 충격에 코스피 질주 제동…호실적도 못막았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7.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368,000
    • +1%
    • 이더리움
    • 4,458,000
    • -4.17%
    • 비트코인 캐시
    • 508,000
    • +0.59%
    • 리플
    • 841
    • -1.98%
    • 솔라나
    • 241,500
    • -2.42%
    • 에이다
    • 553
    • -2.64%
    • 이오스
    • 783
    • -4.86%
    • 트론
    • 191
    • +2.14%
    • 스텔라루멘
    • 144
    • +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500
    • -3.72%
    • 체인링크
    • 18,160
    • -2.42%
    • 샌드박스
    • 431
    • -2.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