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원인 北 소행으로 공식발표 (종합)

입력 2010-05-20 10:19 수정 2010-05-20 13: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합조단 ...해저수거 어뢰 파편, 北수출용 'CHT-02D'중어뢰와 일치

▲사진=연합뉴스
천안함은 북한에서 제조한 고성능 중어뢰에 의한 수중 폭발로 침몰한 것으로 최종 결론났다.

천안함 침몰 원인을 조사해온 민.군 합동조사단의 윤덕용 공동단장은 20일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천안함 침몰사건 조사결과' 발표를 통해 해저에서 수거한 파편자료와 군이 확보한 비밀자료 분석에 근거해 "천안함은 북한제 어뢰에 의한 외부 수중폭발의 결과로 침몰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윤 단장은 "지난 15일 백령도 해상에서 쌍끌이 어선에 수거된 각각 5개의 순회전 및 역회전 프로펠러, 추진모터와 조종장치는 북한의 수출용 무기소개 책자에 소개된 'CHT-02D' 어뢰의 설계도면과 정확히 일치한다"고 말했다.

CHT-02D 어뢰는 음향 항적 및 음향 수동추적 방식을 사용하며 직경이 21인치이고 무게가 1.7t으로 폭약장약이 250㎏에 달하는 중어뢰이다.

윤 단장은 "천안함 침몰 해역에서 수거한 어뢰 추진부 뒷부분 안쪽에서 '1번'이라는 한글표기를 발견했으며, 이는 우리가 확보한 북한의 어뢰 표기방법과도 일치하는 것"이라며 "이는 어뢰 부품이 북한에서 제조됐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고 설명했다.

합조단은 천안함이 침몰한 해상에서 프로펠러 2개가 온전하게 달린 1.5m 길이의 어뢰 뒷부분 동체를 수거했으며, 프로펠러와 구동축 사이에 '1번'이 적혀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 합조단은 컴퓨터를 이용한 폭발유형 시뮬레이션 결과, "수심 6~9m, 가스터빈실 중앙으로부터 대략 좌현 3m의 위치에서 총 폭발량 200~300㎏규모의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윤 단장은 "천안함은 어뢰에 의한 수중 폭발로 발생한 충격파와 버블효과에 의해 절단되어 침몰했다"고 설명했다.

윤 단장은 "다른 주변국의 잠수함정은 모두 자국의 모기지 또는 그 주변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것이 확인됐다"며 "이는 미국과 호주, 캐나다, 영국 등 5개국의 다국적 연합정보분석TF에 의해 확인된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6년 전에도 태풍 '종다리' 왔다고?…이번에도 '최악 더위' 몰고 올까 [이슈크래커]
  • 드림콘서트 30주년…그 시절 치열했던 팬덤 신경전 [요즘, 이거]
  • 사라진 장원삼…독립리그와의 재대결, 고전한 '최강야구' 직관 결과는?
  • 단독 외국인 유학생 절반 "한국 취업·정주 지원 필요"…서열·경쟁문화 "부정적" [K-이공계 유학생을 잡아라]
  • 증시 떠나는 지친 개미…투자자예탁금·빚투 대신 ‘CMA·MMF’ 쏠리네
  • ‘전세사기특별법’ 합의...여야 민생법안 처리 속전속결[종합]
  • 잭슨홀 미팅, 어느 때보다 의견 갈릴 듯…투자 불확실성 최고조
  • '14경기 강행군' 신유빈, 결국 어깨 부상…한 달 휴식키로
  • 오늘의 상승종목

  • 08.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667,000
    • +3.18%
    • 이더리움
    • 3,616,000
    • +1.69%
    • 비트코인 캐시
    • 465,900
    • +1.68%
    • 리플
    • 828
    • +2.99%
    • 솔라나
    • 199,000
    • +2.31%
    • 에이다
    • 467
    • +2.86%
    • 이오스
    • 672
    • -0.44%
    • 트론
    • 199
    • +5.85%
    • 스텔라루멘
    • 135
    • +4.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550
    • +1.74%
    • 체인링크
    • 14,220
    • +3.04%
    • 샌드박스
    • 360
    • +3.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