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의 저성장 상황에 대비한 새로운 성장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7일 보험연구원 기승도 전문연구위원은 '자동차보험시장 성장원인 분석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향후 자동차보험 시장의 성장률이 둔화 또는 정체되는 상황이 올 수 있다며 이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보험 시장은 1980년대에는 연평균 26.2%씩, 1990년대에는 13.1%씩 성장하다 2000년대에 들어 연평균 6.8%의 성장에 그치는 등 성장추이가 절반씩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대수가 증가하면서 사고발생률과 1사고당 손해액 등이 증가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자동차대수는 2000년대 초반 연평균 5% 이상씩 증가했으며 이후에도 약 3% 수준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 연구윈원은 향후 인가증가율이 감소하고 고령화의 진전 등으로 자동차대수 증가추이는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자동차 사고발생률의 경우는 자동차사고를 줄이려는 정부정책, 1사고당 손해액도 명목임금 상승률 감소 및 잠재 경제성장률 하락 등의 영향으로 증가추세가 계속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했다.
여기에 온라인자동차보험시장의 성장은 시장경쟁을 심화시켜 자동차보험시장 성장의 억제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따라 기 연구위원은 자동차보험시장의 성장 정체를 대비해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우선 2008년 자기차량손해담보의 가입률이 52.6%를 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소비자의 니즈를 적극 반영한 자기차량사고의 세부 위험별 상품 등의 자기차량손해담보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 연구위원은 "현재 자동차운행위험 서비스 상품으로 긴급출동서비스가 유일한데 이 외에 자동차고장위험을 담보하는 상품을 도입해야 한다"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위해 자동차사고로 인한 보장담보 상품 외에 상품이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이외에도 손해보험사는 자동차보험시장 성장 정체시 경영위험에 직면할 수 있어 경영위험 헤지 차원에서 다른 보험종목의 판매역량을 강화해 적정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적정 손해율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