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한국 온실가스 총배출량 2.9% 증가

입력 2009-12-28 11: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이 화석연료 발전량 증가 등 에너지소비 증가로 인해 늘었다.

28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2007년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6억2000만tCO₂(이산화탄소톤)로 2006년의 6억260만tCO₂대비 2.9% 증가했다.

이는 GDP가 5.1% 증가했던 2007년도의 경제활동을 반영한 것으로 2002년 이후 5년만에 최고의 배출량 증가율 기록한 것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고리1호기 가동만료에 따른 원자력발전량 감소 및 발전설비 증설에 따른 화석연료 발전량 증가, 에너지다소비업종의 에너지소비증가 등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부문별로는 에너지부문이 3.9%, 농업부문이 5.3% 증가한 반면 산업공정부문은 4.4%, 폐기물부문은 2.2% 감소했다.

아울러 1990년(선진국 의무감축 기준년도) 배출량대비 2007년 배출량은 103.0% 증가한 규모로서 연평균 4.3%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 기간중 발전, 산업, 수송을 중심으로 에너지 소비가 연평균 5.6% 증가해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경부는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협의회와 제3자 검증(외부 전문가 검토), 품질보증/품질관리(QA/QC) 강화 등 객관적이고 철저한 전문가 검토를 거쳐 비의무감축국(Non-Annex I 국가)으로서는 최초로 의무감축국(Annex I 국가) 수준의 온실가스통계 작성했다.

이번 국가통계는 통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작성의무가 없는 비의무감축국으로서는 최초로 UN 가이드라인에 따라 국가인벤토리보고서(NIR)와 공통보고양식(CRF)을 작성·검증했다는 게 지경부측 설명이다.

지경부는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총괄부처로서 지속적인 인벤토리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2010년 중 IPCC, 영국, 일본 등 온실가스통계분야의 선진기관과 통계작성기반 협조체계를 구축·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객관성·일관성·신뢰성 제고를 위해 2007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시행중인 국가 고유 배출계수 개발을 2011년까지 완료하고 에너지·산업공정·폐기물·농축산·산림 등 부문별 기초 자료의 품질수준을 제고하여 본격적인 온실가스 감축시대의 도래에 대비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더 우울해진 한국인…10명 중 7명 "정신건강에 문제" [데이터클립]
  • ‘최애의 아이 2기’ 출격…전작의 ‘비밀’ 풀릴까 [해시태그]
  • '바이든 리스크' 비트코인, 5만5000달러로 급락…4개월 만에 최저치 내려앉나 [Bit코인]
  • 현아·용준형 진짜 결혼한다…결혼식 날짜는 10월 11일
  • '우승 확률 60%' KIA, 후반기 시작부터 LG·SSG와 혈투 예고 [주간 KBO 전망대]
  • 맥북 던진 세종대왕?…‘AI 헛소리’ 잡는 이통3사
  • [기회의 땅 아! 프리카] 불꽃튀는 선점 전쟁…G2 이어 글로벌사우스도 참전
  • 국산 신약 37개…‘블록버스터’ 달성은 언제쯤? [목마른 K블록버스터]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071,000
    • +0.4%
    • 이더리움
    • 4,346,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471,200
    • +0.26%
    • 리플
    • 617
    • -0.8%
    • 솔라나
    • 198,800
    • +0.51%
    • 에이다
    • 526
    • +1.54%
    • 이오스
    • 732
    • -0.81%
    • 트론
    • 179
    • -3.24%
    • 스텔라루멘
    • 124
    • -1.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250
    • +0.67%
    • 체인링크
    • 19,100
    • +5%
    • 샌드박스
    • 426
    • -0.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