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소비자 비우호적 생활습관으로 타격 전망

입력 2009-12-10 15: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세계, M&A로 시장재편 전망예상...전년비 3.1% 외형 성장

내년도 대형마트는 기업간 인수·합병으로 시장이 재편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김성영 신세계 이마트 기획담당 상무는 1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0 유통산업 전망 세미나’의 ‘2010년 대형마트 경영환경 전망’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최근 시장에 매물로 나온 GS스퀘어 백화점과 GS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 위주로 인수합병을 통한 시장재편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내년 대형마트 업계의 외형은 31조9000억원 규모로 올해보다 3.1% 가량 성장세가 실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마트와 홈플러스를 중심으로 한 2강 구도가 고착되면서 주요 대형마트 간 외형확대 경쟁은 일단락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출점규제와 부지 포화 등으로 신규출점에 제동이 걸리면서 타 업태에 비해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그는 전했다.

김 상무는 “백화점에 비해 대형마트는 지속적인 고급화와 가격경쟁력 상실로 대형마트 업종의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라며 “아울러 대형마트에 비우호적인 소비자들의 생활습관 변화도 대형마트에게는 불리한 상황”이라고 우려감을 나타냈다.

김 상무는 이에 따라 “대형마트들은 무조건적인 저가 정책이 아니라 가치에 비해 낮은 가격을 제시할 수 있는 가격경쟁력 구조를 가져가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또한 가격경쟁을 통해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원천적으로 시장을 선도하는 리더십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대형마트의 경쟁력은 결국 ‘PL(Private Label)상품’으로 귀결될 것으로 그는 전망했다.

아울러 대형마트들은 내년도 생존전략으로 ‘멀티채널 전략’을 선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상무는 “2010년은 유통 멀티채널 전략이 본격화되는 시기가 될 것”이라며 “멀티채널 유통회사와 전자상거래 전문회사와의 경쟁구도가 심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상무는 마지막으로 2010년 대형마트 키워드로 ‘S(Smart), L(Lean), I(Inorganic), M(Multi)'를 꼽았다.

그는 “내년은 대형마트의 업의 기본으로 돌아가기 위한 경쟁력을 회복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소비자를 중심으로 상품, 가격, 점포 등 모든 면에서 변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젠지 열광한 '원사이즈' 옷 가게, 한국서도 성공할까? [솔드아웃]
  • 킥보드냐 스쿠터냐…BTS 슈가가 받게 될 ‘음주운전 처벌’은? [해시태그]
  • 판매대금 지연·빼가기가 관행? 구영배 근자감이 火 자초 [제2의 티메프 사태 막자]
  • 에스파→염정아 이어 임영웅까지…이들이 '촌스러움'을 즐기는 이유 [이슈크래커]
  • 커지는 전기차 포비아…화재 보상 사각지대 해소는 '깜깜이'
  • ‘침체 공포’ 진화 나선 월가 거물들…다이먼도 닥터둠도 “美 침체 안빠졌다”
  • '10살 연상연하' 한지민-잔나비 최정훈, 열애 사실 인정 [공식]
  • 박태준, 58㎏급 '금빛 발차기'…16년 만에 남자 태권도 우승 [파리올림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8.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061,000
    • -0.72%
    • 이더리움
    • 3,437,000
    • -4.34%
    • 비트코인 캐시
    • 456,400
    • -1.11%
    • 리플
    • 864
    • +17.71%
    • 솔라나
    • 217,200
    • -0.5%
    • 에이다
    • 470
    • -2.49%
    • 이오스
    • 655
    • +0%
    • 트론
    • 177
    • +0%
    • 스텔라루멘
    • 144
    • +6.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150
    • +5.25%
    • 체인링크
    • 14,130
    • -4.2%
    • 샌드박스
    • 349
    • -1.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