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IR협의회 "KBI메탈, 미국 전력망 투자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가능"

입력 2024-10-15 08: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한국IR협의회)
(출처=한국IR협의회)

한국IR협의회는 15일 KBI메탈에 대해 국내 친환경 재생동(JCR Rod) 부문 1위 업체로써 전선 기업 수출 호황 국면에 올라탈 수 있다고 분석했다.

KBI메탈은 친환경 재생동(스크랩)을 원료로 사용하는 국내 친환경 재생동 부문 선두기업으로, 국내 시장점유율 45%를 확보하고 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매출액 비중은 메탈사업부 90.7%, 전선사업부 4.8%, 전장사업부 4.5%로 구성돼있다.

한국IR협의회에 따르면 전선 산업의 주요 원재료는 구리이며, 전선업체들은 대부분 원재료로 99.99%의 전기동 또는 99.9%의 구리 스크랩을 국내외에서 조달하여 반제품인 동봉(Copper Rod)을 생산해 전선 소재로 사용한다. 동봉은 전기동을 소재로 사용하는 SCR과 구리 스크랩을 소재로 사용하는 JCR로 구분된다.

이원재 한국IR협의회 연구원은 "KBI메탈은 SCR 및 JCR Rod를 모두 생산 가능한 국내 유일 동봉업체였으나 시장성과 수익성을 고려해 SCR 설비는 매각했고, 현재는 국내 1위 JCR Rod 제조업체로 국내 40여 개 중소 전선업체를 고객사로 확보해 업계 1위로 자리매김했다"라며 "현재 월 5000톤 규모의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인공지능(AI), 친환경 산업 호황으로 미국발 구리 수요 특수가 지속하는 덕분에 올해 8월 전체 누적 수출액은 3억35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9.0% 증가했다"라며 "전기차 시장 성장도 구리 수요 증가를 견인하는 원인인데, 내연기관차의 4배에 달하는 구리가 사용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2024년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3660억 원, 영업이익은 240.3% 증가한 175억을 달성했다"라며 "다만, LME 전기동가격과 환율 하락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구리선물 및 통화선도 등 파생상품을 거래하는 과정에서 관련 손실이 112억 원 발생했다"라고 전했다.

더불어 "LS전선그룹의 계열사인 한국미래소재가 재생동 시장에 진입하려는 움직인다는 소식과 선물 및 통화 헷징에 따른 파생상품손실 우려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 뉴진스 하니 국정감사 출석…환노위 국감 시간은?
  • 수능 D-30...“컨디션 끌어올리고 오답 정리 해보세요”
  • 엔터업계에 쏟아진 근조화환…팬들이 분노한 이유 [해시태그]
  • '흑백요리사' 시즌2, 내년 하반기 공개된다…새 출연진 누구일까
  • 비트코인, 6만5000달러 돌파…"美 감세 결정적 요인" [Bit코인]
  • 노벨경제학상 로빈슨 “한국의 포용적 제도가 경제 성공 배경”
  • 올해 바이오 이슈는 ‘투심 위축’…정부에 바라는 것도 ‘자금 지원’
  • 年 1000명 씩 짐 싼 뱅커, 금융사고는 늘었다 [은행, 人 감축의 그림자]
  • 오늘의 상승종목

  • 10.15 13:3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070,000
    • +1.69%
    • 이더리움
    • 3,509,000
    • +2.63%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13.39%
    • 리플
    • 737
    • +1.66%
    • 솔라나
    • 209,400
    • +2.05%
    • 에이다
    • 484
    • +0.83%
    • 이오스
    • 658
    • +2.33%
    • 트론
    • 213
    • -3.18%
    • 스텔라루멘
    • 126
    • +2.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000
    • +7.63%
    • 체인링크
    • 15,480
    • +4.38%
    • 샌드박스
    • 369
    • +2.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