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금액↑, 기술력 인정…“반환은 실패 아냐” [해외서 통한 K바이오]

입력 2024-07-31 05:01 수정 2024-07-31 08: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7-30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매년 1조원 이상 기술이전 계약 체결…올해 5000억 이상 계약 4건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기술이전 계약 규모가 커지면서 우수한 기술력이 전 세계에 입증받고 있다. 기술이전은 신약개발에 있어 임상 개발이 완료되고 승인을 획득하기 전 여러 면에서 완성되지 않은 후보물질에 대한 전반적인 권리를 다른 개발자에게 이전하는 것을 뜻한다.

30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올해 상반기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맺은 기술이전 계약은 모두 8건에 총 계약 규모는 4조6560억 원, 선급금은 3354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 10건 계약에 총 2조9029억 원 규모와 비교하면 건수는 줄었지만 금액은 오히려 1조7000억 원가량 증가해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눈여겨볼 점은 과거 국내 대형 제약사 위주였던 기술이전 성과가 바이오텍에서도 나왔다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공개된 기술이전 계약 8건 중 7건은 바이오텍에서 성사됐다. 2022년과 2023년 종근당, 동아에스티, LG화학, 대웅제약 등 전통제약사와 대기업이 주를 이뤘던 것과는 다르다. 올해 기술이전에 성공한 회사는 아리바이오, 지놈앤컴퍼니, 아이엠바이오로직스, 에이프릴바이오,이수앱지스, 넥스아이 등으로 새로운 얼굴이 자리를 채웠다.

올해 전체 기술이전 가운데 절반인 4건이 5000억 원 이상의 대형 거래였다는 점도 글로버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기술력이 인정받고 있다는 지표로 볼 수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18년부터 매년 1조 원 이상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이 1건 이상 체결됐지만 100억 원 이하의 소규모 계약도 많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기업 입장에서 기술이전은 엄청난 성과임이 명백하다. 기업의 연구개발 능력과 역량을 세상에 알려 기업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쾌거”라면서 “국내 기업들의 기술력이 질적으로 성장하면서 보다 큰 규모의 기술이전 성과를 기대해볼 만하다”라고 말했다.

다만 기술이전이 신약개발 성과로 반드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2015년부터 110여 건의 기술이전이 이뤄졌던 만큼, 반환 사례도 적지 않다. 올해도 보로노이, 올릭스, 큐라클, 아티바 등 4개 기업의 기술이전 계약이 해지되거나 후보물질이 반환됐다.

해당 기업들은 반환된 물질을 기존 연구성과에 추가 실험으로 데이터를 보강해 다시 기술이전에 도전하기도 한다. 또 다른 기업은 자체 임상시험을 추진하는 등 이전했던 기술의 반환을 오히려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기도 한다.

현재 한미약품이 한국인 최적화 비만 신약으로 개발 중인 ‘에페글레나타이드’는 2015년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에 당뇨병 치료제로 기술이전됐으나 반환된 물질이다. 사노피는 6000여 명의 대사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5건의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하던 중 2020년 6월 후보물질에 대한 권리를 한미약품에 돌려줬다.

한미약품은 2021년 6월 미국 당뇨병학회(ADA)에서 에페그레나타이드의 임상 결과를 8개 주제로 나눠 구두발표하며 잠재력을 확인했고, 비만 신약개발 전략을 수립했다. 이를 통해 한국인 맞춤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1(GLP-1)로 개발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임상을 진행 중이다.

또 한미약품은 2015년 얀센에 기술이전된 비만·당뇨 후보물질 ‘에피노페그듀타이드’를 2020년 대사이상관련지방간염(MASH)으로 적응증을 바꿔 글로벌 제약사 머크에 다시 기술이전하는 성과를 냈다.

올해 기술 반환을 경험한 큐라클과 올릭스도 반환된 물질에 대한 개발을 지속해서 이어간단 방침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기술이전에 성공했던 물질이라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선급금(계약금) 규모가 커지면서 이로 인한 금전적 이익도 큰 편이다. 회사 입장에선 연구개발(R&D) 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며 “기술 반환된 물질을 다시 이전한 한미약품 사례가 있듯이 꾸준히 연구개발을 한다면 반드시 기회는 올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신약개발은 실패 확률이 높은 분야다. 과거 기술이전은 모든 것을 넘기는 턴키(Turn key) 계약 방식이었지만, 최근 위험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공동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등 미래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염두에 둔 계약도 많다. 기술 반환이 발생해도 그 이후에 어떻게 대응을 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 원장은 “2022년부터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이라는 삼고의 어려움으로 전 세계적으로 라이센스 시장이 얼어붙었다. 작년부터 회복되는 조짐이 보인다”면서 “향후 금리 인하 등 국제적 정세를 살펴봐야겠지만 투자 분위기가 좋아지고 있다. 향후 기술이전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강야구' 연세대의 반격, 역전 허용하는 최강 몬스터즈…결과는?
  • 한화생명e스포츠, 8년 만에 LCK 서머 우승…젠지 격파
  • 티메프 피해자들, 피해 구제‧재발 방지 특별법 제정 촉구…"전자상거래 사망 선고"
  • 의료계 “의대증원, 2027년부터 논의 가능”
  •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AI 끝이 없다…삼성 AI 제품, 기대치 30%”
  • 현대차 ‘아이오닉 6’, 美 자동차 전문 매체서 ‘최고 전기차’ 선정
  • '장애인 귀화 1호' 패럴림피언 원유민, IPC 선수위원 당선 [파리패럴림픽]
  • 봉하마을 간 이재명, 권양숙 만나 "당에서 중심 갖고 잘 해나가겠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9.0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3,528,000
    • -0.26%
    • 이더리움
    • 3,077,000
    • -0.55%
    • 비트코인 캐시
    • 409,000
    • +0.34%
    • 리플
    • 711
    • -1.11%
    • 솔라나
    • 174,200
    • +0.46%
    • 에이다
    • 453
    • +2.26%
    • 이오스
    • 643
    • +2.06%
    • 트론
    • 207
    • +0%
    • 스텔라루멘
    • 122
    • +1.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850
    • -0.5%
    • 체인링크
    • 13,860
    • +1.91%
    • 샌드박스
    • 327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