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철ㆍ박원석 "안철수 전당대회 불출마, 현명한 결정"

입력 2024-06-18 11:18 수정 2024-06-18 13: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캡쳐)
(출처=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캡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한 것에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과 박원석 새로운미래 전 의원 모두 "현명한 결정"이라고 입을 모았다.

1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박 전 의원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급부상하며 출마해도 당선이 어려운 상황이다. 두 번 연속 당권 도전에 실패하면 2027년 대권 가도에도 그게 플러스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 소장은 "의료대란, 연금개혁 등 국가적 큰 문제 탓에 안 나가겠다고 하는 것은 안 될 것 같으니 안 나가는 것"이라고 했다.

유승민 전 의원의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는 장 소장과 박 전 의원 모두 나오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다.

박 전 의원은 "당원과 유 의원의 생각이 맞지 않고 현재 당원 구성에서는 무엇도 이루기 어려운 상황이다. 당내에 자리가 없다면 박차고 나와서 다른 길을 개척 하든지 접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가 내리게 하려면 구름을 모아야 하는데 그동안 유승민 의원이 했던 정치가 과연 보수 우파 진영 내에서 구름을 모으는 정치였던가에 대해서는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대통령실이 관여할지 여부가 주목되는 상황에 장 소장은 "윤 대통령과 정진석 비서실장, 홍철호 정무수석이 당 지도부 구성에 관심이 많아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어 "대통령 지지도는 낮으나 당은 조직이기 때문에 윤 대통령을 버리면 이 대표가 권력을 더 크게 잡을 것이라는 걱정이 있다. 여론조사랑은 다르게 판단해야 한다"고 했다.

박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강서 재보권 선거 대패, 총선 대패를 경험했기 때문에 지난 전당대회와 판단을 달리할 것이다"며 "극단적으로 한 전 위원장이 당대표가 되면 이 대표가 이로워진다는 슬로건을 내 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언론을 '검찰의 애완견'이라고 칭한 것에 대해 박 전 의원은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와 안부수 전 아태평화교류협회 회장 판결이 모순된다는 이 대표의 입장을 전했다. 이어 "이 대표나 민주당 입장에서는 언론이 지나치게 검찰의 주장만을 중심으로 보도 하고 있다고 불만을 제기한 것이다. 지지층과 당 내부를 향해 조작 사건이라는 프레임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 소장은 "다른 형태의 입틀막"이라며 "이 대표는 같은 사건을 다르게 판결했다고 하지만 안 전 회장 1심 판결에서는 쌍방울 주가 부양을 위해 북한에 돈을 송금했다는 내용은 없다. 사실 관계와 다른 얘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상황에 박 전 의원은 "이번 정권에서 해외순방은 효과가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내치가 불신을 사는데 해외 나가서 외교를 한다고 극복이 되겠느냐. 해야 할 일을 안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743,000
    • -0.44%
    • 이더리움
    • 4,750,000
    • -1.29%
    • 비트코인 캐시
    • 534,500
    • -3.43%
    • 리플
    • 664
    • -1.34%
    • 솔라나
    • 193,600
    • -0.87%
    • 에이다
    • 548
    • -1.26%
    • 이오스
    • 806
    • -0.86%
    • 트론
    • 174
    • +1.75%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50
    • -1.32%
    • 체인링크
    • 19,710
    • -1%
    • 샌드박스
    • 472
    • -0.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