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의식주 비용, OECD 평균보다 높아…낮은 개방도·고비용 유통구조 영향”

입력 2024-06-18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18일 ‘BoK 이슈노트 - 우리나라 물가수준의 특징과 시사점’ 발간
“OECD 평균 대비 식료품가격, 1990년 1.2배→2023년 1.6배 확대”
“식료품가격 상승, 농산물가격 상승 기인…낮은 생산성·개방도·비효율 유통구조”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2.7% 상승해 두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4일 통계청 ‘2024년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전 같은달보다 2.7% 올랐다. 밥상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지수가 17.3% 올라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8.7% 올랐으며, 품목별로는 사과 80.4%, 배 126.3%, 토마토 37.8% 등으로 과실류의 상승세가 계속됐다. 공업제품은 2.1%, 서비스는 2.3% 올랐으며, 생활물가지수는 3.1% 상승했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2.7% 상승해 두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4일 통계청 ‘2024년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전 같은달보다 2.7% 올랐다. 밥상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지수가 17.3% 올라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8.7% 올랐으며, 품목별로는 사과 80.4%, 배 126.3%, 토마토 37.8% 등으로 과실류의 상승세가 계속됐다. 공업제품은 2.1%, 서비스는 2.3% 올랐으며, 생활물가지수는 3.1% 상승했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우리나라의 의식주 비용 수준이 OECD 평균을 훨씬 웃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식료품은 농산물의 낮은 생산성과 개방도, 의류의 경우 고비용 유통구조로 인해 가격 상승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18일 ‘BoK 이슈노트 - 우리나라 물가수준의 특징과 시사점’을 통해 지난해 우리나라 식료품과 의류·신발 가격은 OECD평균 대비 각각 약 1.6배, 1.5배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주거비는 약 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료품의 경우 OECD 평균 수준이 1990년 1.2배 수준에서 확대된 것이다.

연구진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올해 5월, 2.7%)로 둔화했지만 물가 가격 수준이 높아진 점을 주목했다. 2020년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물가 누적상승률은 근원물가 10.6%, 소비자물가 13.7%로 각각 집계됐다. 체감물가를 반영한 생활물가의 누적 상승률은 16.4%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식료품과 의류 가격 수준이 높은 원인으로 낮은 개방도, 고비용 유통구조 등을 꼽았다.

식료품을 구성하는 항목인 과일·채소·축산물·가공식품의 가격 수준은 OECD 평균과 비교했을 때 1.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품목별로는 사과, 돼지고기, 감자의 가격은 2배 이상 높았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연구진은 국내 식료품가격이 빠르게 상승한 배경으로 과일·채소 가격의 수준이 높은 데 기인한다고 진단했다. 국내 농업 환경이 △농경지 부족 및 영농규모 영세성 등으로 인한 낮은 생산성 △일부 과일·채소의 수입을 통한 공급 제한적 △농산물 유통비용 상승 등을 겪는 것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임웅지 물가동향팀 차장은 “미국 등 주요 농업수출국과의 지리적 원거리 등으로 유통기간이 짧은 신선식품의 수입이 어려운 데다 운송비용도 높아 수입을 통한 과일·채소 공급비중이 미국, 유로지역 등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의류가격의 경우 브랜드 선호 현상과 고비용 유통구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기준 백화점 의류 수수료율을 보면 30%에 육박했다.

연구진은 “의류판매 비중이 큰 백화점의 판매수수료율이 여타 상품군 및 유통 채널에 비해 높다”며 “판매방식도 중간유통을 줄일 수 있는 직매입(생산자로부터 직접 구매) 비중이 3%대로 주요국 대비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주택임대료(서울지역 월세 기준), 소득대비 집값 비율(PIR) 등 주거비용도 주요국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 PIR(25.1)는 싱가포르(18.2), 파리(17.8), 런던(14.8), 도쿄(14.4), 뉴욕(14) 등 주요 도시보다 월등히 높았다.

연구진은 식료품, 의류 가격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생산성 제고, 공급 채널 다양화 등 구조적 측면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물가상승률이 높은 것은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물가 수준이 높은 현상이 지속되는 것은 통화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개선 과제로 변동성 높은 농산물의 공급 채널 다양화, 유통구조 효율화 및 유통채널 다양화를 꼽았다.

연구진은 “식료품·의류가격이 OECD 평균 수준으로 낮아진다고 가정할 경우 가계의 평균 소비 여력은 평균적으로 약 7% 정도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며 “특히 해당 품목에 대한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의 소비 여력은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510,000
    • -0.48%
    • 이더리움
    • 4,739,000
    • -1.02%
    • 비트코인 캐시
    • 533,500
    • -2.47%
    • 리플
    • 661
    • -2.07%
    • 솔라나
    • 191,300
    • -1.7%
    • 에이다
    • 544
    • -2.33%
    • 이오스
    • 804
    • -1.83%
    • 트론
    • 173
    • +1.17%
    • 스텔라루멘
    • 127
    • -2.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650
    • -2.94%
    • 체인링크
    • 19,750
    • -0.45%
    • 샌드박스
    • 469
    • -1.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