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입력 2024-06-16 08: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달 5조7000억 원 늘었던 주담대, 이달 보름에만 5대은행서 2조 증가
주택매매 증가세에 주담대 수요 다시 꿈틀
다음 달부터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 앞두고 막차 타기 수요도 늘어난 듯
석달 연속 가계대출 증가세 이어질 가능성 커져

▲올해 1분기 주택 거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13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나 오피스텔을 기피하면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아파트 선호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아파트 거래 비중은 지난해 동기보다 1.6% 높아진 75.8%로, 1분기 기준 2011년 76.5% 이후 13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아파트 거래비중은 금리 인상 단행으로 아파트값이 급락한 2022년에 58.7%까지 떨어졌지만, 빌라 등에서 전세 사기가 부동산 시장을 강타한 지난해 다시 74.2%로 커졌다. 주택거래의 비중이 아파트로 쏠리면서 올해 1분기 전국의 비아파트 거래 비중은 24.2%로 떨어졌고, 이 가운데 다세대·연립의 비중은 14.9%에 머물렀다. 사진은 이날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올해 1분기 주택 거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13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나 오피스텔을 기피하면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아파트 선호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아파트 거래 비중은 지난해 동기보다 1.6% 높아진 75.8%로, 1분기 기준 2011년 76.5% 이후 13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아파트 거래비중은 금리 인상 단행으로 아파트값이 급락한 2022년에 58.7%까지 떨어졌지만, 빌라 등에서 전세 사기가 부동산 시장을 강타한 지난해 다시 74.2%로 커졌다. 주택거래의 비중이 아파트로 쏠리면서 올해 1분기 전국의 비아파트 거래 비중은 24.2%로 떨어졌고, 이 가운데 다세대·연립의 비중은 14.9%에 머물렀다. 사진은 이날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지난 4~5월 10조 원 가까이 늘었던 가계대출이 이달 보름 만에 2조 원 넘게 불어났다. 아파트 거래량이 늘어나는 등 주택 경기가 회복세를 타면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하는 모양새다. 다음달부터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입을 앞두고 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한도가 줄어들 것이란 전망에 신용대출까지 덩달아 늘어나는 분위기다.

16일 금융당국 및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5조 4000억 원 증가했다. 증가 폭이 4월 4조1000억 원보다 커져 지난해 10월(6조 2000억 원) 이후 7개월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두 달간 늘어난 가계대출 만 9조5000억 원에 이른다.

이같은 추세는 이달에도 이어지고 있다.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이달 1일부터 13일 까지 가계대출 잔액은 705조3759억 원으로, 5월 말(703조2308억 원)보다 2조1451억원 증가했다. 추이가 월말까지 지속될 경우 증가 폭이 4월이나 5월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담대가 전체 대출을 이끌었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담대(잔액 548조2706억 원)이 1조9646억 원 불었다. 신용대출(102조9924억 원→103조2757억 원) 도 같은 기간 2833억 원 늘었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계속되는 이유는 주택 매매가 급증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는 지난해 12월 2만6934호에서 1월 3만2111호로늘었다가 3월 4만233호까지 증가했다. 4월 역시 4만4119호로 확대세를 이어갔다.

정책금융 상품이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끌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4월부터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이 은행 재원으로 상당 부분 공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디딤돌(구입)·버팀목(전세) 등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은 통상 연초에 자체 재원으로 공급돼 은행 가계대출 실적에 포함되지 않았다가, 이 재원이 소진되면 은행 재원으로 대출이 이뤄진다.

▲주택담보대출이 열흘 만에 1조원 이상 불어나는 등 가계대출 급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13일 서울 여의도의 한 은행에 주택담보 대출 광고문이 붙어있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이 7월말, 512조8875억원과 비교해 이달들어 열흘만에 1조2299억원 불어나 514조117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최근 인기를 끄는 50년 만기 초장기 주택담보대출에 일제히 연령 제한을 두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주택담보대출이 열흘 만에 1조원 이상 불어나는 등 가계대출 급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13일 서울 여의도의 한 은행에 주택담보 대출 광고문이 붙어있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이 7월말, 512조8875억원과 비교해 이달들어 열흘만에 1조2299억원 불어나 514조117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최근 인기를 끄는 50년 만기 초장기 주택담보대출에 일제히 연령 제한을 두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일각에서는 내달부터 적용되는 2단계 스트레스 DSR을 앞두고 막차타기 수요가 몰린 영향이란 해석도 제기된다. 다음달 1일부터 2단계 스트레스 DSR이 적용되면 가산금리는 오르고 대출한도는 크게 줄어든다. 이에 따라 하반기 증가폭은 둔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2단계 스트레스 DSR 도입으로 올 하반기 가계대출은 상반기에 비해 증가액이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성 피겨 국가대표, '음주·후배 성추행'…빙상연맹 홈피 접속 불가
  • 줄 서서 사던 '그 가방', 한국에 왔다 [솔드아웃]
  • 모든 것이 뒤집혀 있다?…콘셉트 포토존 '거꾸로하우스' [Z탐사대]
  • 미국 정치 뒤덮는 ‘돈의 쓰나미’...역대 대통령 80%가 백만장자
  • “호캉스 즐기며 와인 한 잔 어때?”[주말엔]
  • 해외 전문가들도 국민연금 걱정…“보험료부터 올려야”
  • 비트코인 떨어지니 알트코인 불장 오나…"밈코인 도미넌스는 하락 중" [Bit코인]
  • 이재명 사퇴 임박인데...어쩌다 눈길은 국민의힘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829,000
    • +0.87%
    • 이더리움
    • 4,937,000
    • +0.16%
    • 비트코인 캐시
    • 548,000
    • -0.45%
    • 리플
    • 687
    • -0.87%
    • 솔라나
    • 189,400
    • +1.72%
    • 에이다
    • 532
    • -2.03%
    • 이오스
    • 803
    • -1.71%
    • 트론
    • 168
    • +1.2%
    • 스텔라루멘
    • 128
    • -3.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050
    • +1.86%
    • 체인링크
    • 19,210
    • -6.2%
    • 샌드박스
    • 469
    • -0.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