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 낮추고 물가 오르자 車보험 손해율 악화 "보험료 인상 가능성 ↑"

입력 2024-06-0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보험硏, 자동차보험 손해율 변동요인 분석 리포트 발표

(어도비 스톡)
(어도비 스톡)

자동차 보험료 인하와 물가 상승으로 인한 차량 가격 및 수리비 인상으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향후 보험료가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손해율 리스크를 반영한 보험요율을 적용하고 보험금 누수를 막을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2일 보험연구원이 발간한 '최근 자동차보험 손해율 변동요인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4월 대형 5개사(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메리츠화재·KB손해보험)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평균 80.5%로, 지난해 같은 시기(76.1%) 대비 4%포인트(p) 넘게 올랐다.

올해 2월 보험소비자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보험료를 인하한 것이 두 달 만에 수익성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보험연구원은 보험사의 평균 인하율(개인용)은 지난해 1.4%, 올해 현재 1.6%로, 보험료 인하 효과는 다음 해까지 실적에 점진적으로 반영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차량 수리비와 자동차 가격이 상승한 것도 손해율 악화로 이어졌다. 실제 차량 수리비는 2013년 110만 원 수준에서 2022년 161만 원으로 증가했다. 신규 차량의 평균가격도 2020년 3984만 원에서 지난해 4922만 원으로 올랐다.

천지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비자물가는 건당 수리비를 상승시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물가에 따른 보험료 조정은 쉽지 않아 사고심도 악화에 따른 손해율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실적 차이도 커지는 양상이다. 대형사는 시장점유율 확대와 함께 실적이 약간 개선되고 있지만 중소형사의 경우 실적이 다소 악화됐다. 특히 대형사와 달리 개인용 자동차보험 비중이 높은 중소형사와 비대면사의 손해율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천 연구위원은 "자동차보험 손해율 악화는 향후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리스크를 반영한 △보험요율 적용 △사고 감소 유도 △보험금 누수 억제 등을 위한 환경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며 "손해율 증가에 물적담보의 영향이 커지고 있어, 향후 물적담보 보험금 지급 관련 불합리한 제도 개선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56년의 대장정…현대차 글로벌 누적생산 1억 대 돌파
  • '연봉 7000만 원' 벌어야 결혼 성공?…실제 근로자 연봉과 비교해보니 [그래픽 스토리]
  • ‘채상병 특검법’ 野주도 본회의 통과...22대 국회 개원식 무산
  • 허웅 전 여친, 유흥업소 출신 의혹에 "작작해라"…직접 공개한 청담 아파트 등기
  • 신작 성적 따라 등락 오가는 게임주…"하반기·내년 신작 모멘텀 주목"
  • '5000원' 백반집에 감동도 잠시…어김없이 소환된 광장시장 '바가지'? [이슈크래커]
  • '시청역 역주행' 사고 운전자 체포영장 기각된 까닭
  • 임영웅, 광고계도 휩쓸었네…이정재·변우석 꺾고 광고모델 브랜드평판 1위
  • 오늘의 상승종목

  • 07.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3,132,000
    • -2.9%
    • 이더리움
    • 4,479,000
    • -4.54%
    • 비트코인 캐시
    • 491,500
    • -7.18%
    • 리플
    • 629
    • -5.27%
    • 솔라나
    • 192,700
    • -4.46%
    • 에이다
    • 544
    • -6.04%
    • 이오스
    • 743
    • -7.93%
    • 트론
    • 182
    • -0.55%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50
    • -10.41%
    • 체인링크
    • 18,520
    • -8.9%
    • 샌드박스
    • 414
    • -8.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