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 "5대 우주강국 목표"…화성 착륙선 개발하고 국제 협력 강화한다

입력 2024-05-30 17: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가 우주항공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우주항공청 개청에 발맞춰 우주항공 5대 강국 실현을 위한 청사진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핵심 기술·인프라를 확보하고 신시장을 선점해 한강의 기적, 반도체의 기적에 이어 우주의 기적을 구현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정부는 30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에서 제1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우주항공 5대 강국 입국을 위한 ‘우주항공청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우주 분야는 독자적인 발사체, 위성 및 항공기 개발 역량을 확보하며 세계 7대 강국으로 도약했으나 우주탐사, 항공엔진부품 등 미래 핵심 기술 분야에서 선도국과의 기술 격차가 10년 이상이며 국내 산업 규모도 약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대비 기술격차는 관측기술 10.5년, 탐사기술 11.5년 수준이며 국내 우주산업 규모는 2022년 기준 3조6000억 원으로 세계시장 523조 원 대비 0.7% 수준이다.

정부는 5대 우주강국 도약을 위해 2027년까지 우주개발 예산을 1조5000억 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2045년까지 100조 원의 민간 투자를 끌어내고 25만개 이상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은 5대 우주강국 진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4대 우주항공 기술 분야 및 3대 기반 분야별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4대 우주항공 기술 분야로 △뉴스페이스 발사서비스 시장 진출 △위성개발·활용 생태계 조성 △화성·심우주로 탐사 확대 △신 항공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꼽았다. 3대 우주항공 기반은 △우주항공경제 본격 창출 △국가 우주항공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 △우주항공 국제 영향력 확대 등이다.

윤 청장은 “글로벌 발사서비스 시장 진출을 위해 차세대 발사체를 개발하고 누리호 반복 발사 준비와 재사용발사체 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간 주도의 위성정보 활용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15cm급 해상도의 첨단위성 개발과 우주광통신, 우주인터넷 등 미래 위성 핵심 기술을 화보하고 국가위성 개발 고도화,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 기반 구축 등을 추진한다. 독자적인 심우주 탐사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달 착륙선 개발 및 달 기지 확보 등 달 관측·탐사 수행 △화성 궤도선 및 화성 착륙선 개발·탐사 등을 추진한다.

윤 청장은 “항공 분야의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첨단 제조 혁신을 통해 산업 도약 기반을 다지고 산업생태계를 고도화해 미래 항공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하이브리드 미래항공 모빌리티, 첨단항공엔진 개발, 무인기, 수송기 민수화 등 민군협력 및 국제공동개발 확대, 소재,부품, 장비 핵심 기술 및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기술 확보를 위해 세계 생산 기지화 등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민간과 정부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글로벌 수준의 민간 주도 우주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우주항공산업을 국가 주력산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규제 개선 및 수출지원, 우주산업 삼각 클러스터 조성, 민간 대상 우주항공 분야 조달 등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절차, 제도 정비를 추진한다.

정부는 우주항공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도 강화한다. 우주항공청 중심으로 국가우주위원회를 활성화하고 우주항공 분야 법 제도 정비 및 정부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우주항공 분야에서 선도국가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윤 청장은 “우주항공청 주관 산학연 협력체제의 주요국·신흥국 양자협력과 국제기구 교류를 확대하고 대형 국제협력 우주탐사에 참여하고 우주 국제 협력 전략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단독 용역업체가 수익금 관리?…한국콘텐츠진흥원 '부외현금' 관행 적발
  • 게임 맛집 슈퍼셀의 야심작 '스쿼드 버스터즈'…"간단한데 맛있다"[mG픽]
  • 의료 파업, 국민 77.3%가 반대…"원인은 의사 기득권 지키기" [데이터클립]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단독 “호봉제 폐지”…현대차, 연구·일반직 임금체계 개편 재추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229,000
    • -0.33%
    • 이더리움
    • 4,813,000
    • -2.77%
    • 비트코인 캐시
    • 543,000
    • -6.62%
    • 리플
    • 699
    • +0%
    • 솔라나
    • 193,600
    • -4.11%
    • 에이다
    • 528
    • -7.21%
    • 이오스
    • 782
    • -10.53%
    • 트론
    • 162
    • -1.22%
    • 스텔라루멘
    • 128
    • -6.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300
    • -7.96%
    • 체인링크
    • 19,150
    • -5.01%
    • 샌드박스
    • 443
    • -10.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