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 현물 ETF, 美정치권 친 크립토 훈풍에 승인 가능성↑…내일 ‘운명의 날’

입력 2024-05-23 15: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 목요일 새벽,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여부 결정
부정적이던 전망, 친 크립토 정치 행보에 반전…가능성↑
가상자산, 美 대선 주요 의제로 부상…정책 경쟁 확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반에크가 신청한 이더리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승인 여부 결정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국 정치권을 중심으로 가상자산에 우호적 기류가 형성되며 승인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가상자산이 11월 미 대선의 주요 의제로 떠오르며, 줄 곳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내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민주당마저 친화적 입장으로 돌아서면서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 SEC는 반에크가 신청한 이더리움 현물 ETF에 대한 승인 결정을 23일(현지시각)까지 내려야 한다.

최근까지 5월 승인은 힘들 것으로 여겨졌던 이더리움 현물 ETF는 최근 SEC가 신청사들에게 ETF 거래규칙변경 관련 신고서(19b-4)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면서 급물살을 타고 있다. 물론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당시 미 SEC를 압박했던 ‘그레이스케일 GBTC’ 같은 사례가 부족하고, 이더리움의 증권성 문제가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라 거절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SEC의 태도 변화는 유의미하다는 게 다수 전문가의 견해다.

실제로 3월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을 25%로 예상했던 에릭 발추나스 블룸버그 ETF 전문 분석가는 해당 소식 이후 확률을 75%로 상향했다. 영국의 은행 스탠다드 차타드의 제프 켄드릭 가상자산 수석 역시 승인 확률을 80% 이상으로 전망했다.

이는 올해 초 승인된 비트코인 현물 ETF 역시 신청사와 SEC 사이의 의견 교환 이후 승인된 만큼, 이더리움 현물 ETF도 같은 절차에 돌입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아크인베스트·21쉐어즈(공동신청)를 시작으로 피델리티, 그레이스케일, 반에크, 블랙록, 프랭클린 등 신청사는 증권성 논란이 있는 스테이킹 관련 내용을 신청서에서 삭제하며 분주하게 대응하는 중이다.

업계에선 이 같은 긍정 기류의 배경에 미국 대선 이슈가 깔려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11월로 예정된 미 대선에서 ‘가상자산 정책’이 주요 아젠다 중 하나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이번 SEC의 입장 선회에 대해 제임스 세이파트 블룸버그 ETF 전문 분석가는 자신의 X(구 트위터)를 통해 “이는 전례가 없는 상황이며, 아직 (SEC) 내부적으로 조율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정치적인 결정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22일(현지시각) 미 하원에서 ‘21세기 금융 혁신 기술법(FIT21)’이 통과되며 이 같은 해석에 힘을 실었다. FIT21은 가상자산에 대한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는 법안으로, 탈중앙 테스트를 통해 가상자산을 크립토 증권과 크립토 상품으로 분류하고, 규제 권한을 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나누는 것을 골자로 한다. 특히 가상자산의 70%는 상품으로 분류돼야 한다는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지면서 친 가상자산 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법안이 이번 하원 표결에서 찬성(279명)이 반대(136명)보다 두 배 이상의 표를 얻어 통과됐고, 민주당 의원 71명도 찬성표를 던진 것이 알려지며 미국 정치권의 가상자산에 대한 입장이 변화했음을 시사했다. 법안 통과에 부정적 의견을 내며 거부권 행사를 언급했던 백악관 역시 “FIT21이 현재와 같은 형태로 통과되는 것을 반대한다”면서도 “가상자산에 대한 포괄적이고 균형 잡힌 규제 프레임워크를 보장하기 위해 의회와 협력하기를 원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이더리움 현물 ETF는 이전부터 지금까지 쭉 정무적인 이슈였으며 최근 대선을 앞두고는 가상자산 정책 싸움으로 번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민주당과 SEC, 바이든 대통령이 가상자산 금지 일변도 정책을 유지하며 불만이 고조됐는데,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친 크립토 후보’를 자처하며 지지를 호소한 것이 영향을 끼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SEC가 19b-4를 승인한다 해도 증권신고서(S-1) 승인 절차도 남아있어, 실제 출시까지는 수개월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제임스 세이파트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는 X에 “SEC와 이더리움 현물 ETF 신청사 간에 S-1 관련 논의가 시작되더라도 결론까지 최소 3개월 이상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명승부 열전 '엘롯라시코'…롯데, 윌커슨 앞세워 5연속 위닝시리즈 도전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741,000
    • -0.17%
    • 이더리움
    • 5,032,000
    • +1.19%
    • 비트코인 캐시
    • 606,500
    • +0.33%
    • 리플
    • 693
    • +2.36%
    • 솔라나
    • 203,300
    • -0.97%
    • 에이다
    • 581
    • -0.68%
    • 이오스
    • 929
    • -0.21%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39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550
    • -1%
    • 체인링크
    • 20,720
    • -1.66%
    • 샌드박스
    • 542
    • +0.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