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올해 세계경제 3.0% 성장…회복세 소폭 둔화"

입력 2024-05-21 14:00 수정 2024-05-21 14: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이시욱 원장과 정영식 국제거시금융실장이 21일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4층 브리핑실에서 2024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이시욱 원장과 정영식 국제거시금융실장이 21일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4층 브리핑실에서 2024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종전比 0.2%p↑…"지정학 리스크·자국우선주의 등 하방요인"
美 2.4%·EU 0.7%·日 0.9%·中 4.8%…"25년 세계경제 3.2%↑"
"하반기부터 美금리↓ 기대감 고조…원달러 환율 하락세 전환"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올해 세계경제가 3.0% 성장하며 회복세가 소폭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정학적 리스크 심화, 고금리 장기화 속 국가 간 차별화된 통화 정책, 포퓰리즘에 따른 자국 우선주의 심화 등이 복합적 성장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KIEP는 21일 '2024년 세계경제전망(업데이트)' 보고서에서 "2024년 세계경제는 2023년(3.2%) 대비 0.2%포인트(p) 하락한 3.0%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전망치 2.8%에서 0.2%포인트(p) 상향한 것으로, 국제통화기금(IMF·3.2%)·경제협력개발기구(OECD·3.1%) 등 타 기관 전망치보다 소폭 낮은 수준이다. 2025년 세계경제는 미국의 하향세와 유로 지역의 회복, 인도의 선전 등으로 요약되며 연간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선진국 중에선 미국의 강한 회복세가 완만해지고 유럽과 일본 경제는 상대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은 예상보다 강한 소비지출·민간투자 회복·정부지출 등이 주요 성장축으로 작용하며 올해 2.4% 성장(종전 전망치 대비 0.9%p 상향)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유로 지역은 낮은 투자와 해당 지역 30% 이상을 차지하는 독일 경제 부진으로 0.7% 성장(종전 전망치 대비 0.4%p 하향) 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도 완만한 내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높은 성장을 이끈 수출입 부문 기여도 하락이 예상되면서 올해 0.9%(종전 전망치 대비 0.1%p 하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신흥국은 인도의 강한 성장세와 중국 및 타 신흥국의 완만한 경기가 대조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5% 내외 경제성장 목표를 내건 중국의 경우 시장의 낮은 기대와 경제 리스크 지속, 대외 불확실성과 정부의 다양한 경제안정 정책 효과를 종합 고려해 종전 대비 0.3%p 올린 4.8%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는 인프라·주택 공급 중심의 정부·민간투자 확대와 민간소비 회복 등으로 종전 전망치 대비 0.6%p 오른 6.8%의 고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다.

올해 세계경제 키워드로는 '정책의 초불확실성, 차별화된 성장'을 제시했다. 주요 하방요인으로는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과 공급 충격 재발 △고금리 장기화 속 국가 간 통화정책 차별화 △글로벌 선거의 해 이후 사회·정치 양극화 및 자국 우선주의 심화를 꼽았다.

KIEP는 중동 사태 등 지정학적 위기가 더 악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 유가·원자재 파동이 재발하면 글로벌 경제는 인플레이션 등 경기 침체를 겪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미국 경제 상승세가 지속되며 물가 상승 압력이 남으면 기준금리 인하는 더 지연될 수 있으며, 미국과 타 국가간 금리차 확대로 경제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봤다. 올해는 미국 등 60개 이상 국가에서 선거가 열리는 만큼 포퓰리즘 정책이 대거 도입될 경우 세계경제에 큰 파장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유가는 중동 리스크를 제외할 경우 현 수준인 70~90달러 구간에 머무르면서 장기적으로 완만한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환율의 경우 올 하반기로 갈수록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고조되며 달러화가 약세 전환 압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은 달러화 움직임에 영향을 받으며 당분간 고환율을 보이다 미 금리 인하 기대감이 고조되는 하반기부터 하락세로 전환할 것으로 봤다.

다만 KIEP는 우리나라의 고금리는 가계부채 등 금융 안정성에 초점을 맞춘 만큼 미국 통화정책과 꼭 연동하지 않아도 된다는 입장이다. 정영식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관련 브리핑에서 "미국은 고용 안정성을 많이 보지만 우리 금리 정책은 물가 안정, 금융 안정성을 본다"며 "최근 지표에서 가계부채 등이 완화돼 미국 정책에 따라 수동적으로 변화하기보다는 물가 둔화 속도 등을 보고 자율 선택할 여지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60,000
    • -0.43%
    • 이더리움
    • 4,750,000
    • -0.73%
    • 비트코인 캐시
    • 533,500
    • -2.56%
    • 리플
    • 662
    • -1.34%
    • 솔라나
    • 191,900
    • -1.03%
    • 에이다
    • 544
    • -2.51%
    • 이오스
    • 802
    • -2.08%
    • 트론
    • 174
    • +1.16%
    • 스텔라루멘
    • 128
    • -2.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000
    • -2.7%
    • 체인링크
    • 19,740
    • -0.65%
    • 샌드박스
    • 468
    • -1.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