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경제, 서방 무딘 칼날에 연초 빠른 회복세

입력 2024-04-02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월 기업 경영환경 지표는 12년 내 최고
생산·수요 전망치도 강세
수출 반등에 외화 수입도 회복
모스크바 테러 후 이민자 단속은 새 부담으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행인이 아이스크림을 먹고 있다. 모스크바/타스연합뉴스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행인이 아이스크림을 먹고 있다. 모스크바/타스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전쟁 후 서방은 대러시아 제재를 시행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갈수록 힘을 잃어가고 있다. 올 초 러시아 경제가 강력한 소비자 수요와 투자, 수출에 힘입어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이 기업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집계하는 기업 경영환경 지표는 지난달 최근 12년 중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생산과 수요 전망치도 2013년 5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집계됐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의 알렉스 이사코프 이코노미스트는 “최근의 데이터는 러시아 경제가 복잡해진 결제와 물류 시스템에 어느 정도 적응했음을 보여준다”며 “수출은 반등하고 있고 외환 수입도 마찬가지”라고 분석했다.

제재 이후 스타벅스, 샤넬, 폴크스바겐 등 서방 대기업 대부분이 러시아에서 철수했지만, 빈자리를 러시아 기업들이 채우면서 버텨낸 점도 경기회복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 독일 DPA통신은 “모스크바 에브로페이스키 쇼핑몰에 한때 보였던 공실 대부분이 다시 채워졌다”며 “또 서방 기업들이 러시아에서 철수했지만, 현지 소규모 소매상들이 그 빈자리를 채웠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발생한 모스크바 테러는 러시아 경제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당국이 테러 이후 이민자 단속을 모색하고 있는데, 일손 부족에 이민자 의존이 큰 상황에서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 전문매체 인사이더는 “러시아에는 현재 500만 명의 이주노동자가 있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이민자 단속은 러시아의 노동력 부족을 더 악화시켜 경제에 또 다른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비트코인, ETF 유입에 투심 회복…이더리움 ETF 승인 '오매불망' [Bit코인]
  • “이젠 싼 맛 말고 제맛”…K브랜드로 中독 벗어난다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뉴욕인사이트] 고용 지표에 쏠리는 눈…하반기 황소장 이어가나
  • “잠재력만 봅니다” 부실 상장·관리 여전...파두·시큐레터 투자자 ‘피눈물’ [기술특례상장 명과 암②]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서울 지하철 3호선 대치역서 배터리 화재…"현재 정상운행 중"
  • 오늘의 상승종목

  • 07.01 12:1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947,000
    • +4.09%
    • 이더리움
    • 4,907,000
    • +3.87%
    • 비트코인 캐시
    • 553,000
    • +3.36%
    • 리플
    • 669
    • +1.06%
    • 솔라나
    • 206,700
    • +5.73%
    • 에이다
    • 560
    • +5.07%
    • 이오스
    • 819
    • +3.41%
    • 트론
    • 175
    • -0.57%
    • 스텔라루멘
    • 129
    • +2.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800
    • +4.93%
    • 체인링크
    • 20,060
    • +5.63%
    • 샌드박스
    • 471
    • +3.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