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유업계가 글로벌 탄소 감축 움직임에 대응해 친환경 연료 사업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법·제도 마련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석유협회, 에너지경제연구원은 18일 서울 삼정호텔에서 ‘2023 석유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석유산업의 신성장 전략과 친환경 연료’를 주제로 국내외 석유산업의 친환경 연료 분야 진출 현황과 미래 기술, 대응 전략 등에 대한 발표와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축사에서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 범위에 석유 제품뿐만 아니라 친환경 연료를 포함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고, 조만간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법적 틀이 마련됐으니 친환경 연료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세액 공제 등 지원책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친환경 연료를 의무화하는 나라도 있고, 여러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우리 기업들이 투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같이 상의해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정유업계는 글로벌 탄소 중립 정책에 따라 석유 수요가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친환경 원료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법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유럽 정유사들은 이미 2010년부터 석유 제품 생산량을 줄이는 추세다.
김철현 HD현대오일뱅크 상무는 “메이저 정유사들은 기존 공정을 바이오 리파이너리(석유를 바이오매스로 대체)로 전환하고 신규 공장 투자를 우선 진행하고 있으며, ‘e-퓨얼(재생합성연료)’ 생산은 연구 개발 및 실증 단계로 추후 시설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친환경 연료에 대한 투자가 시급하다. 이를 위한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민관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항공업계의 탄소 감축과 정유업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가능항공유(SAF) 의무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영대 SK이노베이션 그린성장기술팀장은 “정유 공정에 바이오원료를 도입하면 산소나 이물질 성분에 의해 다양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파악하고 해소하는 기술이 필요하다”며 “실증연구와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하려면 해외처럼 우리나라도 SAF 의무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내년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 연평균 배럴당 83달러로,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태환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정책연구실장은 “내년 국제 유가는 세계 경기 회복세 정도에 의해 좌우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지정학적 요인은 석유 시장에서 상수화가 됐다”고 했다.
국제유가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로는 글로벌 경기 회복세를 비롯해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오펙플러스(OPEC+)의 감산과 미국발 공급 증가,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내년 예정된 미국과 러시아 대선 등 정치적 요인 등이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