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ABS 규제완화 목소리 '솔솔'
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고 있는 카드사들이 금리가 낮은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으로 급한 불 끄기에 나섰다. 하지만 한도를 늘리기 어려운 구조라 해외 차입 등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들어 발행된 카드사의 여신전문채권 평균 금리는 4.9%로 집계됐다. 올해 3월 여전채 금리는 3%대에 머물렀지만 4월부터 오름세로 전환하더니 9월 들어 4.5%를 넘었다.
수신 기능이 없는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사는 대부분 여전채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다. 따라서 카드사들은 여전채 금리가 오를 때마다 회사채보다 금리가 낮고 장기간 자금 조달이 가능한 ABS를 발행한다. 실제 지난해 고금리 속에서 여전사가 발행한 ABS 발행 금액은 11조3000억 원으로 전년(7조7000억 원)보다 3조6000억 원 증가했다.
올해도 이 같은 추세는 계속되고 있다. 올해 3분기에만 △우리카드 2억 달러(약 2700억 원) △하나카드 3억 달러(약 4000억 원) 규모의 해외 ABS를 발행했다. KB국민카드는 지난 22일 5억 달러(약 6615억 원) 규모의 해외 ABS를 발행하며 통화, 금리 스와프로 환율과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 요인을 제거했다. 롯데카드도 내년 상반기 해외 ABS 발행을 준비 중이다.
ABS 발행에도 카드사들은 여전히 70% 이상의 운영 자금을 여전채 발행에 의존하고 있다. 정부 규제로 ABS 발행 한도나 범위를 늘리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카드사는 ABS 발행 시 자산 보유자가 발행물량의 5%를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이른바 ‘위험보유규제’를 적용받는다.
외화 채권을 신규로 발행하려면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규제도 존재한다. 그간 새롭게 외화를 차입하기 위해선 외화 총량을 관리하는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해야 하지만 건전성 관리 측면에서 기재부의 승인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여신업계는 ABS 발행 비중을 늘려 조달비용 절감을 노릴 수 있다며 규제 완화 요구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대출채권 등 담보를 활용한 ABS 발행으로 조달 기간을 늘릴 수 있어 차환발행에 따른 이자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환율이 높은 상황에서 해외 ABS 발행에 대한 규제 완화가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는 업계 전망도 나왔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한국신용카드학회장)는 “ABS 보유규제를 완화해 업계 자금시장을 안정화할 필요가 있다”며 “해외 ABS 발행에 따른 외화 유입으로 원·달러 환율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 규제가 이뤄졌지만, 현재 환율이 높아 규제의 필요성이 낮아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