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건수는 평년과 비슷하나 피해 면적은 역대 최대…3월 지리산 산불 피해 영향
산불 원인 대부분 탐방객·주민 실수…단속·순찰 강화
올해 국립공원 산불 피해 면적이 최근 10년 평균의 4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건수는 평년과 비슷했으나 피해 면적은 역대 최대다. 이는 올해 3월 경남 지리산 국립공원 산불 피해 영향이 컸다. 정부는 산불 원인의 대부분이 탐방객과 주민 실수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 단속과 순찰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9일 국립공원공단(이하 공단)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의 국립공원 산불 발생 건수는 9건으로 최근 10년(2013~2022년) 평균인 8.2건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피해 면적은 131.52ha(헥타르)에 달해 최근 10년 평균 3.289ha의 약 40배에 달했다. 연간 산불 피해 면적 규모로는 9월까지만으로도 올해가 역대 최대다.
이는 올해 3월 경남 하동군 화개면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산불 영향이 크다. 이 산불은 직·간접적 추정 피해 구역이 91ha에 달한다. 특히 현장에 투입된 산불진화대원이 심정지 증세로 숨지는 일까지 발생했다. 23시간이나 진행된 이 산불은 인근 가정집의 화목보일러에서 발화가 시작된 걸로 추정된다.
공단은 올해 가을철 산불 예방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먼저 산불 예방을 위해 15일부터 12월 15일까지 전국 국립공원 탐방로 609개 구간(1985km) 중 산불 발생 위험도가 높은 92개 탐방로를 전면 통제한다.
전면 통제되는 92개 탐방로는 설악산 오색~대청봉 구간 등 총길이 411㎞이며, 부분 개방 및 통제되는 탐방로는 28개 구간(총길이 252㎞)이다. 나머지 489개 구간(1322㎞)은 평상시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또, 산불 감시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산불방지 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하고, 산불 경보 단계에 따라 순찰 인력을 확대 배치하는 등 국립공원 특성에 맞춘 산불 원인별 예방 대책도 추진한다.
2013년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산불은 총 91건으로 대부분 탐방객 및 인근 주민의 실화에 의해 발생했다. 이에 공단은 탐방객의 흡연, 인화물질 소지, 통제구역 무단출입 등 불법행위에 대한 단속과 순찰을 강화한다.
또한, 산림 인접 경작지와 국립공원마을 지구에서 소각 행위 단속과 순찰을 강화하고, 관련 주민에게 종량제봉투를 지급해 소각 행위를 차단한다.
이와 함께 국립공원 인접에서 화목보일러를 사용하는 가옥, 공사장 등에는 소화기를 비치하도록 하고,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등 섬 지역에는 주민진화대(21팀, 515명)를 운영해 산불 예방 및 초동 진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산불에 취약한 침엽수림 군락지 31곳을 산불취약지구로 지정해 순찰 및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산림청과 협조해 산불 발생 시 즉시 상황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산불 상황관리 체계 개선과 산불 초동대응반을 편성해 초동 대응력을 강화한다.
'산불 신고 포상금 제도'를 시행해 산불방지를 위한 국민의 자율적인 감시와 참여를 이끌 계획이다. 산불 신고자에게는 산불원인자 판결・처분 등에 따라 최대 300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국립공원별 통제 탐방로 현황은 국립공원공단 누리집(www.knps.or.kr)에서 10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송형근 공단 이사장은 "국립공원은 미래세대에 고스란히 물려줘야 할 소중한 유산인 만큼 자연환경이 잘 보전될 수 있도록 산불 예방에 대한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