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 경영’에 진심인 롯데百…업계 첫 3자 인권영향평가

입력 2023-07-30 10:04 수정 2023-07-30 10: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경영인증원 종합평가 달성률 89.3% '우수'

(사진제공=롯데백화점)
(사진제공=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이 업계 처음으로 ‘인권 경영’ 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며 ESG 경영 고도화에 박차를 가한다. 인권경영이란 기업 경영과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인 회사 임직원, 고객, 협력사, 지역사회 등 모든 구성원에게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기업이 필요한 활동을 다 하는 인간존중의 경영을 말한다.

롯데백화점은 올해 업계 처음으로 제3자인 한국경영인증원으로부터 ‘인권영향평가’를 진행, 지난해 인권경영 정책 선언을 기반으로 인권경영 제도 및 시스템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았다고 30일 밝혔다.

평가 항목은 OECD 가이드라인, 유럽연합(EU) 및 독일 공급망 실사법, 국제노동기구(ILO) 책임협약, 세계인권선언, 국가인권위원회 및 K-ESG 가이드라인을 반영해 총 9개 분야 46개 항목, 231개 지표로 구성됐다. 임직원, 협력사 등 이해관계자 대상 인터뷰와 인권실태조사 설문을 통해 올해 종합평가 달성률 89.3%를 기록했다.

한국경영인증원은 첫 번째 인권영향평가임을 고려하면 우수한 성적이라며, 이번 평가를 통해 도출된 개선과제는 이행 수준, 영향 심각도, 발생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체계적인 인권경영 로드맵에 따라 수행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롯데백화점은 올 하반기까지 인권경영 규정을 새로 제정하고 전담조직을 구성하는 한편, 매년 정기적인 평가를 진행하고 결과 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또한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를 위해 협력사 인권경영 수준 진단 및 가이드, 모니터링 등을 단계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대응 강화, 인권침해 및 고충 처리 기관과 제도에 대한 홍보, 외부 이해관계자로부터의 인권침해관리 등 이슈에 대해서도 중점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김지현 롯데백화점 마케팅&커뮤니케이션부문장은 “인권경영은 미국, 유럽 등 국제사회 전반에서 활발히 합의가 이뤄지고 있으나 국내는 여전히 공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에 한해 의무화 돼 있다”며 “일회성 인권영향평가 실시에 그치지 않고 중장기 로드맵을 세워 인권경영을 선도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대로 '뚝' 떨어진 주담대 금리…'막차 영끌'에 불 붙이나
  • 줄 서서 사던 '그 가방', 한국에 왔다 [솔드아웃]
  • 단독 ‘사내 복지몰’ 제품 싸게 사 온라인서 재판매…산단공 직원 고발
  • 지난달 청년 상용직 19만 명 급감, 그냥 쉰다도 40만 명대...고용의 질·양 악화
  • 외국인 국채 통합계좌 시스템 27일 개통…WGBI 편입에 한 걸음
  • '그것이 알고 싶다' 故 구하라 금고 도난 사건…비밀번호 넘겨받은 청부업자?
  • ‘녹색 지옥’ 독일 뉘르부르크링서 제네시스 트랙 택시 달린다
  • 한동훈·나경원·원희룡, 오늘(23일) 국민의힘 당대표 출사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587,000
    • -0.25%
    • 이더리움
    • 4,916,000
    • -0.32%
    • 비트코인 캐시
    • 543,500
    • -2.42%
    • 리플
    • 681
    • -1.16%
    • 솔라나
    • 185,700
    • -2.16%
    • 에이다
    • 545
    • +0%
    • 이오스
    • 797
    • -1.85%
    • 트론
    • 169
    • +0%
    • 스텔라루멘
    • 128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650
    • -1.67%
    • 체인링크
    • 18,910
    • -1.77%
    • 샌드박스
    • 457
    • -2.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