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V 아키텍처 도입 예고한 테슬라…“차량 경량화 도움될 것”

입력 2023-04-10 09: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車연구원, 보고서 통해 테슬라 전략 분석
48V 도입 시 전력 효율↑, 차량 무게는↓

▲Tesla의 전기전자 아키텍처 개선 및 배선 단순화 사례. (사진제공=한국자동차연구원)
▲Tesla의 전기전자 아키텍처 개선 및 배선 단순화 사례. (사진제공=한국자동차연구원)

테슬라가 지난달 48V(볼트) 기반 전기·전자 아키텍처(구조)를 도입한다고 밝히며 향후 전기차의 무게가 가벼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호중 한국자동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0일 ‘테슬라의 48V 아키텍처 도입의 의미’ 보고서를 발표하고 테슬라의 48V 아키텍처 도입 목적이 “구조적으로 전력효율을 높이고 차량 경량화를 보다 진전시키는 것에 있다”고 분석했다.

테슬라는 지난 3월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기존 12V 아키텍처에서 48V 아키텍처로의 전환을 예고했다.

1960년대 이후 자동차 전장 부품의 표준 전압은 12V로 유지됐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에 각종 전자 장비가 탑재되고, 이에 필요한 전류를 감당하기 위해 차내 배선이 복잡해지고 전선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테슬라는 올 하반기 양산 목표인 ‘사이버트럭’과 향후 출시 차량 등에 모두 48V 아키텍처를 적용한다. 48V 아키텍처로 전환 시 배선을 단순화하고 전선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차량 경량화 및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어서다. 또한 전장 부품의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력 변환 시스템 효율을 개선해 전력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이 연구원은 테슬라의 행보가 부품 생태계에 대한 테슬라의 장악력이 충분히 강화됐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도 말했다.

사이버트럭의 양산이 임박한 시점에서 48V 적용을 선언했다는 점은 새로운 규격의 부품을 적정 비용으로 양산할 수 있도록 관련 부품 기업들과 협의를 완료하였다는 의미라는 것이다.

또한 48V 아키텍처로 전환의 이점이 실제로 증명된다면 여타 완성차 기업의 추격 부담이 커질 것으로도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일부 완성차 기업은 여러 계층의 부품 기업과의 장기 협력으로 생긴 조직적 관성 때문에 48V 전환의 필요성을 인정하더라도 실질적인 전환에 오랜 기간이 걸릴 것”이라며 “48V로 전환하려면 부품 공급선과 개발·구매 부문 조직·인력 변화 등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바이든 리스크' 비트코인, 5만5000달러로 급락…4개월 만에 최저치 내려앉나 [Bit코인]
  • 현아·용준형, 연애 6개월 만에 결혼설…"10월 11일에 식 올린다"
  • [날씨] "출근길 우산 챙기세요" 수도권 천둥·번개 물폭탄…무더위는 계속
  • 맥북 던진 세종대왕?…‘AI 헛소리’ 잡는 이통3사
  • [기회의 땅 아! 프리카] 불꽃튀는 선점 전쟁…G2 이어 글로벌사우스도 참전
  • 국산 신약 37개…‘블록버스터’ 달성은 언제쯤? [목마른 K블록버스터]
  • “이마트 ‘노브랜드’ 발품 팔아 찾은 가성비...해외서도 통했죠”[단독 인터뷰]
  • ‘평생 트라우마’ 학교폭력, 더 심해지고 다양해졌다 [학교는, 지금 ①]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13:1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8,608,000
    • -4.21%
    • 이더리움
    • 4,115,000
    • -4.83%
    • 비트코인 캐시
    • 440,400
    • -7.87%
    • 리플
    • 592
    • -6.03%
    • 솔라나
    • 186,100
    • -7.09%
    • 에이다
    • 490
    • -6.84%
    • 이오스
    • 694
    • -5.58%
    • 트론
    • 178
    • -3.78%
    • 스텔라루멘
    • 119
    • -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510
    • -4.97%
    • 체인링크
    • 17,570
    • -4.82%
    • 샌드박스
    • 399
    • -6.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