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은아 “눈 뜨고 봐줄 수 없는 지경...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냐”
조수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5일 양곡관리법의 대안으로 ‘밥 한 공기 비우기’를 논의했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를 포함한 일부 여권 인사들은 “갈수록 태산”, “점입가경”이라고 비판했다.
조수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남아도는 쌀 문제가 굉장히 가슴 아픈 현실이라 ‘밥 한 공기 다 비우기’에 대해서도 논의를 했다”며 “여성들 같은 경우에는 다이어트를 위해서도 밥을 잘 먹지 않는 분들이 많은데, (쌀이) 다른 식품과 비교해서는 오히려 칼로리가 낮다. 그런 것을 적극적으로 알려 나간다든가 국민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 위원은 또 다른 대안으로 농가의 외국인 노동자 유치 문제를 들었다. 그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유치하고 돌보기 위해서는 기숙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자치단체마다 기숙사 시설이 뒷받침이 안 된 곳이 많다고 한다”며 “모내기 철이 되면 그 현장을 답사할 생각”이라고 전했다.
‘양곡관리법을 부결시켜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나’라고 묻자 “초과 생산된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하는 것은 근본적인 농업의 미래하고는 관련이 없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일부 농민 단체에서 반대를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 전 대표는 자신의 SNS를 통해 “양곡관리법을 반대하면서 그 대안이 ‘여성들이 다이어트를 하고 그래서 밥을 잘 안 먹는다’, ‘밥 한 공기 다 비우기 운동을 하자’, ‘밥이 오히려 다른 식품에 비해 칼로리가 낮다는 것을(?) 알리자’라고 한다면 이걸 가지고 대안 경쟁을 할 수 있겠냐”며 “갈수록 태산”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곧이어 SNS에 연대별 밥공기 크기를 비교한 사진을 올리며 “사실 밥 한 공기 다 먹기 운동이 소비량 증대에도 큰 의미는 없는 것이, 다 비우냐 마느냐는 쌀 소비량에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며 “어차피 제육볶음에 밥 한 공기 나오면 먹든 남기든 소비는 된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실효적이려면 밥 한 공기 ‘다 먹기’ 운동이 아니라 ‘밥 많이 퍼담기’ 또는 ‘두 공기 먹기’ 운동이 되어야 최소한 논리적”이라며 “1940년대 밥공기 크기로 가면 실질적으로 식당에서 더 많은 밥을 남겨서 더 많이 버리는 방식으로 해결될 것 같다”고 비꼬았다.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도 자신의 SNS를 통해 “최고위원 리스크가 점입가경, 더 이상 눈 뜨고 봐줄 수 없는 지경”이라며 “쌀값이 떨어져 걱정이 태산인데 여성들의 다이어트 탓이나 하고 공기밥 먹는 운동을 하자니 이게 어느 나라 민생 해법이란 말이냐”고 쏘아붙였다.
허 의원은 이어 “자유 대한민국이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냐”며 “밥을 반 그릇 먹든, 다이어트를 하든, 그건 국민의 자유이고 선택이다. 전당대회 한 지 한 달도 채 안 됐는데 벌써부터 당 걱정, 민생 걱정이 태산”이라고 말했다.
온라인에서는 “잡곡먹기 운동하던 80년대냐”, “70년대 박정희가 쓰던 방식”, “70년대 새마을 운동 보는 줄”, “초등학교 학급회의 시간에 나온 의견 같다”는 등의 반응이 올라오며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