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지 못하는 동아시아 은퇴자들...“한국 등 고령 근로자 계속 늘어”

입력 2023-01-08 17: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NYT, 한ㆍ중ㆍ일 등 아시아 국가 상황 소개
“한국 노인 빈곤율 40% 육박, 65세 이상 근로자도 많아”
부족한 연금도 퇴직 어려운 요인으로 꼽아

▲일본 도쿄에서 2020년 7월 16일 가게 직원이 가게 창문을 닦고 있다. 도쿄/AP뉴시스
▲일본 도쿄에서 2020년 7월 16일 가게 직원이 가게 창문을 닦고 있다. 도쿄/AP뉴시스
동아시아에서 은퇴 연령에도 일을 쉬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 홍콩에서의 고령 근로자의 삶을 뉴욕타임스(NYT)가 7일(현지시간) 조명했다.

동아시아 인구는 세계 어느 곳보다 빠르게 고령화 중이다. 한국에선 노인 빈곤율이 40%에 육박하며 비슷한 비율의 65세 이상이 여전히 일하고 있다. 홍콩에선 노인 8명 중 1명이 은퇴를 못 했고 일본에선 그 비중이 4명 중 1명꼴에 달한다.

이들 국가는 과거 노동력 강화를 위해 출산 장려와 이민법 수정에 집중했다. 하지만 출생률이 급락하는 등 정책에 거의 도움 되지 못했다고 NYT는 지적했다.

대신에 한국과 일본에선 고령 근로자를 위한 임시 직업소개소가 생기거나 노조가 결성되는 등 고령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 노동 환경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고 소개했다. 처음엔 은퇴자들이 경제적 필요에 따라 일을 나가기 시작했다면 이젠 고용주들이 이들에게 더 의존하면서 둘 사이는 뗄 수 없는 관계가 됐다.

은퇴자들의 연금이 부족한 점도 현 상황의 또 다른 이유로 꼽힌다. 한·중·일 월평균 연금 지급액은 500달러(약 63만 원)를 밑돌고 있다. 미국의 ‘401K’와 같은 개인 은퇴 프로그램이 도입되지도 못한 상황이다. 정규직에서 밀려난 이들은 결국 저임금 계약직으로 돌아와 연금으로 채우지 못한 생활비를 벌고 있다.

NYT는 “노동력에 포함되는 젊은 층이 줄면서 노동자들은 70대를 넘어서도 힘들게 일하고 있다”며 “한·중·일은 이런 인구 이동을 받아들이기 위해 기업 보조금과 은퇴 조정과 같은 정책적 변화를 실험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아시아엔 더 많은 유연성이 시급하다”며 “이런 상황이 멀지 않은 세계 다른 국가들도 이제 유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아시아에서 교훈을 찾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예약 밀리고 안 되고…국민 10명 중 3명, 의료공백 불편경험 [데이터클립]
  • “이젠 싼 맛 말고 제맛”…K브랜드로 中독 벗어난다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뉴욕인사이트] 고용 지표에 쏠리는 눈…하반기 황소장 이어가나
  • “잠재력만 봅니다” 부실 상장·관리 여전...파두·시큐레터 투자자 ‘피눈물’ [기술특례상장 명과 암②]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박민영이 터뜨리고, 변우석이 끝냈다…올해 상반기 뒤흔든 드라마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140,000
    • +1.7%
    • 이더리움
    • 4,876,000
    • +2.07%
    • 비트코인 캐시
    • 545,500
    • -0.55%
    • 리플
    • 675
    • +1.35%
    • 솔라나
    • 206,600
    • +3.66%
    • 에이다
    • 562
    • +3.69%
    • 이오스
    • 813
    • +1.25%
    • 트론
    • 181
    • +2.26%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350
    • -0.87%
    • 체인링크
    • 20,140
    • +4.95%
    • 샌드박스
    • 464
    • +0.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