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여성가족부(여가부)가 발표한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한부모 평균연령은 43.6세였다. 40대가 60.7%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대 이하(23.7%), 50대 이상(15.7%)이 그 뒤를 이었다.
10명 중 8명은 이혼했고, 가구원 구성은 어머니와 외조부모 등으로 구성된 모자중심가구가 67.4%로 가장 많았다. 아버지와 친조부모 등으로 구성된 부자중심가구는 절반 수준인 32.6%에 그쳤다.
자녀 수는 1명 57.0%, 2명 36.9% 순으로 집계됐다. 자녀가 두 명 이상일 경우 가장 어린 자녀는 중학생 이상(56.3%)이 가장 많았다.
한부모가구 열중 일곱은 가장 부담되는 것으로 '양육비, 교육비'를 꼽았다. 이들은 ‘자녀 교육비’로 월평균 지출액 185만3000원의 26.9%인 약 49만 원을 썼다. 한부모가 경제활동을 하는 동안 혼자 있는 자녀들이 각종 돌봄기관이나 방과후 교실 등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양육비를 지원받을 창구는 부족했다. 10명 중 7명 이상은 전 배우자 혹은 자녀의 친부, 친모 등에게 양육비를 한 번도 지급받지 못했고 답했다.
그럼에도 법적 대응은 하지 않았다. 한부모 중 90.5%가 ‘자녀양육비 청구 소송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여가부 산하 기관인 ‘양육비이행관리원’이 존재하지만 ‘비양육 부모와 얽히는 게 싫어서(40.8%)'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다는 답이 가장 많았다.
한부모가구의 월평균 가처분 소득은 245만3000원이었다. 전체 가구 가처분소득 416만9000원의 58.8%에 불과했다. 순자산액 규모에서는 더 큰 차이가 났다. 금융자산, 부동산자산, 부채 등을 종합한 순자산액은 한부모가구(1억 947만 원)가 전체가구(4억 1452만 원)의 4분의 1 수준이었다.
한부모가구 중 절반은 기초생활보장, 저소득한부모 등으로 정부 지원을 받고 있었다.
주거 불안은 3년 전보다 더 커졌다. 직전 조사인 2018년 조사에서 ‘자가’에 사는 비율은 24.1%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20.7%로 낮아졌다. 대신 전세 비율(16.4%→23.6%)과 보증부 월세 비율(22.7%→26.4%)은 높아졌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이같은 결과에 “한부모가족이 안정적으로 자녀를 양육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양육비 지원을 강화하는 내용이 국정과제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차질 없이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만 18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전국 한부모가구주 33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