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 사태 여파 계속…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 2014년 이후 최저

입력 2022-04-22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금융감독원)
(자료제공=금융감독원)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의 여파로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은 201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액(89조2000억 원)은 전년보다 2조1000억 원 감소했으나 상환액은 90조9000억 원으로 발행액보다 많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발행 잔액은 84조7000억 원으로 2014년(84조1000억 원)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은 72조2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조2000억 원 증가했으나, DLF 사태가 있었던 2019년에 비해 27조7000억 원 감소했다. 금감원은 “코로나19 영향 감소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홍콩H지수 약세에 따라 투자 수요가 위축돼 여전히 발행액이 낮다”고 설명했다. 홍콩H지수는 지난해 2월 1만2229포인트까지 올랐으나 같은 해 말 8236포인트를 기록했다. 공모 발행 비중은 전년(83.9%)보다 소폭 증가한 89.7%, 원금보장형 발행은 같은 기간 38.6%에서 31.8%로 줄었다.

지수형 ELS 발행액은 49조5000억 원, 종목형 ELS 16조5000억 원, 혼합형 ELS는 6조1000억 원을 기록했다. 기초 자산이 3개 이상인 ELS 발행 비중은 56.9%, 1개인 ELS는 28.6%였다. 기초자산별로는 △S&P500 42조3000억 원 △유로톡스50 36조2000억 원 △코스피200 27조9000억 원 △홍콩H지수 19조1000억 원 등이다. 지난해 홍콩H지수 약세로 홍콩H지수에 대한 투자 수요가 위축되면서 편입 ELS 비중도 35.5%에서 34.3%로 줄었다.

낙인(Knock-In) 옵션이 포함된 ELS 발행 규모는 25조7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조8000억 원 증가했다. 이중 저낙인형 ELS 발행 비중은 전년보다 5%P 늘었다. △은행신탁(32조2000억 원) △일반공모(22조6000억 원) △퇴직연금(10조 원) 순으로 판매됐다.

(자료제공=금융감독원)
(자료제공=금융감독원)

지난해 ELS 상환 규모는 74조1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2조1000억 원 감소했다. 금감원은 “홍콩H지수 하락 등에 따른 주기상환 감소가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른 ELS 잔액은 57조5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4조1000억 원 감소했다.

지난해 파생결합증권(DLS) 발행액은 17조 원으로 전년보다 5조3000억 원 줄었다. 금감원은 “DLF 사태 등으로 인한 투자수요 위축 및 고위험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자 보호 강화 정책에 따른 원금 비보장형 DLS 일괄신고 금지 영향으로 지속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기초자산별로 보면 금리 기초 DLS가 61.4%로 가장 많았으며 신용(28.7%), 환율(1.1%) 등이 뒤를 이었다. 상환액은 16조7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조3000억 원 감소했다. 만기 상환액(9조1000억 원)이 조기 상환액(7조7000억 원)보다 많았다. DLS 발행 잔액은 27조2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2000억 원 감소했다.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 운용 중 자체 헤지 규모는 51조 원으로 전년보다 2조3000억 원 감소했다. 백투백헤지 거래상대방은 외국계가 75.4%였으며 DLS(81.4%)가 ELS(70%)보다 외국계 금융회사 의존도가 높았다. 발행자금 운용자산의 평가 금액은 90조3000억 원으로 부채평가액(83조4000억 원)보다 6조9000억 원 많았다.

헤지 자산은 채권이 70조8000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예금/예치금 9조6000억 원, 기타자산 7조7000억 원 순이었다.

투자 이익은 소폭 증가했다. ELS는 3.2%에서 3.6%, DLS는 1%에서 1.6%로 올랐다. 금감원은 “지수 변동성 증가로 인한 쿠폰 수익률 증가 및 코로나19 이후 주요 지수 회복으로 손실 상환 규모가 감소해 수익률이 증가했다”면서도 “투자 원금이 감소해 수익 규모는 비슷한 수준”이라고 부연했다.

지난해 말 기준 낙인이 발생한 파생결합증권은 136억 원으로 전체 파생결합증권의 0.02%였다. 이 중 DLS가 65%였다. 낙인이 발생한 DLS는 대부분 원유 관련 기초자산과 홍콩H지수가 함께 편입된 DLS였다.

금감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미국 금리 상승 등으로 글로벌 증시 불안이 지속하고 있어 투자자 손실 리스크 모니터링을 지속하겠다”며 “헤지자산 내 여전채 집중도 완화 등 제도 시행에 따른 시장 영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장 10일 연휴…내년 10월 10일 무슨 날? [데이터클립]
  • 사생활부터 전과 고백까지…방송가에 떨어진 '일반인 출연자' 경계령 [이슈크래커]
  • 홍명보호, 11월 중동 2연전 명단 발표…손흥민 포함·이승우 다시 제외
  • ‘흑백요리사’ 셰프 만날 기회…‘2024 서울미식주간’ 열린다
  • 전남 ‘폐교’ 844곳 가장 많아...서울도 예외 아냐 [문 닫는 학교 4000곳 육박]
  • [종합] 금투세 소멸에 양대 지수 급등 마감…외인·기관 코스닥 ‘쌍끌이 사자’
  • "성냥갑은 매력 없다"…정비사업 디자인·설계 차별화 박차 [평범한 건 NO, 특화설계 경쟁①]
  • 단독 '부정‧부패' 의혹 장애인아이스하키협회, 상위기관 중징계 처분 뭉갰다
  • 오늘의 상승종목

  • 11.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855,000
    • -2.9%
    • 이더리움
    • 3,374,000
    • -2.34%
    • 비트코인 캐시
    • 457,100
    • -4.63%
    • 리플
    • 704
    • -0.14%
    • 솔라나
    • 221,000
    • -2.99%
    • 에이다
    • 456
    • -2.56%
    • 이오스
    • 572
    • -2.05%
    • 트론
    • 228
    • -1.3%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950
    • -4.26%
    • 체인링크
    • 14,430
    • -4.25%
    • 샌드박스
    • 318
    • -2.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