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이후 숙박·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60% 가까이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 효과와 배달수요 증가 등으로 매출액은 보전됐지만,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등 플랫폼 수수료와 배달료 등 영업비용이 급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투데이가 5일 통계청 ‘2020년 소상공인 실태조사(잠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숙박·음식점업 소상공인들의 2020년 사업체당 매출액은 1억1700만 원으로 전년보다 400만 원 줄었다. 코로나19 유행과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소비 위축에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이다. 긴급재난지원금, 새희망자금, 버팀목자금 등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대상 재정지원을 고려하면, 오히려 총수입은 늘었을 수 있다. 소상공인들을 벼랑으로 내몬 주범은 코로나19가 아니란 의미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이 국내여행으로 대체되면서 보전된 측면이 있을 것이고, 재난지원금 효과도 있을 것”이라며 “음식점업으로 한정한다면 매장 수요가 배달 수요로 옮겨가면서 매출이 유지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소상공인 경영난의 배경은 수익성 악화다. 숙박·음식점업의 사업체당 영업이익은 2019년 2900만 원에서 2020년 1200만 원으로 1700만 원(58.6%)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아직 확정치가 집계되진 않았으나, 영업비용이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2018년 25.8%에서 2019년 24.0%로, 2018년에는 10.3%로 수직 하강했다.
영업비용은 크게 매출원가, 급여총액, 임차료, 기타 영업비용으로 나뉜다. 여기에서 총 영업비용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급여총액과 임차료는 전년보다 줄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업체당 종사자가 2019년 2.35명에서 2020년 1.83명으로 22.1% 급감해서다. 임차료도 보증부 월세를 기준으로 보증금이 2298만 원에서 2138만 원으로 160만 원(7.0%), 월세는 127만 원에서 119만 원으로 8만 원(6.3%) 각각 내렸다.
총 영업비용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매출원가(생산·제조원가 등)도 큰 변동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농산물 중 채소가 15.2%, 축산물이 7.3% 올랐으나, 두 품목은 전년도에 각각 마이너스, 보합을 기록했다. 2년 평균으로 보면 급격한 상승으로 보기 어렵다. 오히려 가공식품은 상승률이 전년 2.0%에서 1.4%로 둔화했다.
남는 건 기타 영업비용이다. 기타 영업비용은 매출원가, 급여총액, 임차료를 제외한 세금·공과금, 관리비, 감가상각비, 운반비, 통신비, 홍보비, 가맹수수료, 소모품비, 잡비 등 모든 영업비용을 포함한다. 이 중 세금·공과금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감면·유예로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감가상각비와 통신비, 소모품비 등은 연별로 큰 편차를 보이지 않는다.
반면, 배달 앱 수수료·배달료는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배달수요 증가로 급격히 늘었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 배달 앱은 음식값의 10% 내외를 수수료로 가져간다. 배달료는 별도다. 따라서 배달 앱을 통한 주문이 늘면 매출액이 유지돼도 영업이익은 심각한 손실을 입게 된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배달수요가 늘면서 소상공인들의 매출액이 유지되긴 했지만, 수수료·배달료 등 비용이 커지면서 많이 팔아도 남는 게 없는 상황”이라며 “플랫폼이 판로 확보라는 차원에선 분명 소상공인들에게 도움이 되지만, 이용료가 계속해서 늘어나는 구조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음식값이 1만 원이든 10만 원이든 중개에 들어가는 비용은 같은데, 수수료는 10배가 차이 난다”며 “수수료 합리화가 앞으로 중요한 과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