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RCEP 체결 후 첫 연설…“보호주의 아닌 다자무역 참여해야”

입력 2020-11-19 16: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화상으로 열린 APEC 주최 CEO 대화에 참석
RCEP 성공 강조하며 미국 겨냥 일방 외교 꼬집기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9일 중국 베이징에서 APEC 주최 화상 CEO 대화에 참석해 연설을 하고 있다. 베이징/신화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9일 중국 베이징에서 APEC 주최 화상 CEO 대화에 참석해 연설을 하고 있다. 베이징/신화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체결 이후 처음 공개 연설에 나섰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은 미국을 겨냥한 보호주의 비판과 함께 다자 무역을 통한 중국 외교 정책을 어필했다.

19일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화상으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대화’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시 주석은 “올해 들어 단독주의와 보호주의가 확산하고 있다”며 “개방을 향한 중국의 결심은 흔들리지 않는다”고 전했다.

또 “중국은 오랫동안 세계경제에 포함돼 왔다”며 “우린 디커플링(세계 흐름과 다른 움직임을 보이는 현상)을 추구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을 고립시키는 어떠한 그룹도 형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지난 4년 간 보여온 일방 외교에 대한 지적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RCEP 체결을 통해 다자 간 외교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시 주석은 “중국은 외국인 투자를 위해 더욱 개방하고 다자 간 무역 메커니즘에 참여할 것”이라며 “아시아ㆍ태평양의 경제 협력은 반드시 강한 생명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한국과 일본, 중국, 호주, 동남아시아 국가 등 15개국은 RCEP에 서명했다. RCEP은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관계국 간 관세 인하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미국의 경우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만들고 중국을 견제했지만, 트럼프 정부 들어서 탈퇴하고 일방 외교로 전환한 상태다. 다만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다자 외교로의 복귀를 꾀하는 만큼 미국 안팎에선 TPP 복귀와 RCEP 가입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다.

APEC은 한국과 미국, 일본 등 주요 21개국이 참여하는 아ㆍ태 지역 최대 경제 협력체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화상회의를 통해 20일 개최되며 말레이시아가 의장국을 맡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21~22일) 참석 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APEC에는 참석을 결정하면서 미ㆍ중 간 대화 가능성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G20에 참석하지 않을 경우 APEC이 사실상 이번 임기의 마지막 국제 무대 활동이 될 수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시 주석의 연설은 중국이 한국과 일본 및 동남아 국가들을 포함한 RCEP에 서명한 직후의 발언으로, 성과를 과시하는 모습”이라며 “TPP를 이탈하고 RCEP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을 의식한 발언이기도 하다”고 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강철원 사육사, 푸바오 만나러 중국행…팬 카메라에 포착
  • '나솔사계' 20기 정숙♥영호, 이별 후 재회…"새벽 4시까지 기다려, 35조항 납득"
  • 고꾸라진 비트코인, '공포·탐욕 지수' 1년 6개월만 최저치…겹악재 지속 [Bit코인]
  • 현대차, 하반기 ‘킹산직·연구직’ 신규 채용 나선다
  • 경찰 "시청역 사고 전 CCTV에 부부 다투는 모습 없어"
  • 푸틴 “트럼프 ‘종전계획’ 발언,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중”
  • “고액연봉도 필요 없다” 워라벨 찾아 금융사 짐싸고 나오는 MZ들
  • '연봉 7000만 원' 벌어야 결혼 성공?…실제 근로자 연봉과 비교해보니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7.05 14:0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7,453,000
    • -7.13%
    • 이더리움
    • 4,127,000
    • -9.75%
    • 비트코인 캐시
    • 441,200
    • -14.08%
    • 리플
    • 578
    • -11.08%
    • 솔라나
    • 181,300
    • -6.16%
    • 에이다
    • 479
    • -14.16%
    • 이오스
    • 662
    • -14.91%
    • 트론
    • 177
    • -2.21%
    • 스텔라루멘
    • 115
    • -9.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390
    • -15.7%
    • 체인링크
    • 16,550
    • -12.57%
    • 샌드박스
    • 371
    • -14.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