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계열사 3개월 새 24곳↑…지주사 설립·사업확장 활발

입력 2020-11-02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4개 집단 계열사 총 2345곳…56곳 편입·32곳 제외

(지료제공=공정거래위원회)
(지료제공=공정거래위원회)

대기업집단 계열사가 최근 3개월 새 24곳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배구조 개편을 위해 지주회사를 설립하거나 사업확장을 위한 지분취득 등의 계열편입이 활발하게 이뤄졌다.

2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5월 1일 지정 64개 공시대상기업집단(자산총액 5조 원 이상)의 소속회사 수는 지난달 말 기준 2325개로 7월 말보다 24곳이 늘었다.

3개월 사이에 28개 집단이 총 56곳을 소속회사로 편입시켰고, 20개 집단이 총 32곳을 소속회사에서 제외했다. 계열 편입 회사가 많은 집단은 IMM인베스트먼트(7개), 카카오(5개) 순이며, 계열 제외 회사가 많은 집단은 한국투자금융(5개), 대림(3개) 순이다.

계열 편입 사유는 회사설립(신규 27개·분할 3개), 지분취득(15개), 모회사 또는 임원회사의 계열편입에 따른 동반계열편입 등 기타(11개)로 조사됐다.

주요 사례로는 태영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태영건설을 인적분할해 지주회사인 티와이홀딩스를 설립했다. 셀트리온도 지주회사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지주회사인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를 신설했다.

카카오는 콘텐츠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소속회사인 카카오페이지가 파괴연구소, 필연매니지먼트, 배틀엔터테인먼트, 인타임 등 4개 회사의 지분을 인수했다.

또 KT, 농협, 미래에셋, 유진 등은 금융회사의 지배력 획득이나 지분취득으로 계열편입을 하거나 비금융업에서 금융업으로 업종을 변경했다.

계열제외 사유는 흡수합병(12개), 지분매각(7개), 청산종결(6개), 친족독립 경영 등 기타(7개)로 조사됐다.

대표적으로 한국투자금융이 드림라인 등 3곳의 보유주식을 IMM인베스트먼트에 전부 매각하면서 이들 회사가 한국투자금융에서 계열 제외됐다.

카카오의 경우 동일인의 친족이 운영하는 빌드제이가 독립경영 이유로 카카오에서 계열 제외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13,000
    • +0.36%
    • 이더리움
    • 5,309,000
    • -0.51%
    • 비트코인 캐시
    • 642,500
    • -0.77%
    • 리플
    • 722
    • -0.69%
    • 솔라나
    • 228,000
    • -2.44%
    • 에이다
    • 625
    • -1.26%
    • 이오스
    • 1,121
    • -0.71%
    • 트론
    • 162
    • +2.53%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0.47%
    • 체인링크
    • 25,440
    • -1.43%
    • 샌드박스
    • 614
    • -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