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 두달째 사상최고..달러화 약세에 증가폭 2년반만 최대

입력 2020-08-05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165억3000만 달러..세계 9위 수준 유지

▲외환보유액 추이 (자료제공=한국은행)
▲외환보유액 추이 (자료제공=한국은행)

외환보유액은 두 달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증가폭 역시 2년반만에 가장 컸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달러화가 큰 폭으로 약세를 기록한 때문이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외환보유액은 4165억3000만 달러로, 전월 말 대비 57억7000만 달러 증가했다. 이는 2018년 1월 64억9000만 달러 증가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앞서 3월 외환보유액은 전월 대비 89억6000만 달러 감소한 것으로 집계, 2008년 외환위기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한 바 있다. 당시 한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외환당국의 사장안정화 조치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후 4월부터 회복하기 시작한 외환보유액은 6월 4107억5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최대치를 경신했고, 그 흐름은 지난달에도 이어진 것이다.

▲외환보유액 월별 추이 (출처=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외환보유액 월별 추이 (출처=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항목별로는 유가증권이 3793억8000만 달러(91.1%)를 기록했고, 그 뒤를 예치금 248억6000만 달러(6.0%), 금 47억9000만 달러(1.2%), IMF포지션 43억7000만 달러(1.0%), SDR 31억3000만 달러(0.8%)이 이었다.

이중 예치금만 전월 대비 11억8000만 달러 감소했고, 변동 없는 금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은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외환보유액 증가는 외화자산 운용수익 및 미달러화 약세에 따른 기타통화표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 증가 등에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주요 6개국 통화대상 달러화지수(DXY)인 달러인덱스는 7월말 현재 93.35로 전월대비 4.1%(-4.04) 급락했다. 이는 2010년 9월(-5.4%) 이후 9년10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이다.

한편 6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9위다. 중국(3조1123억 달러)과 일본(1조3832억 달러)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페인, 잉글랜드 꺾고 '4번째 유로 정상'…MVP는 로드리·신인왕 야말 [유로 2024]
  • 2024 초복 인기 메뉴는 단연 치킨…복날 맞이 치킨 가격 순위 50 [그래픽 스토리]
  • 결혼식 굳이? 미혼남녀 38% "생략 가능" [데이터클립]
  • 유니클로부터 K리그까지…온 세상이 '헬로키티' 천국? [솔드아웃]
  • FBI “트럼프 총격범, 단독범행…정신병력 없다”
  • 변우석 측, '과잉경호' 논란에 사과 "현장에서 인지할 수 없어…도의적 책임 통감"
  • 5대銀, 상반기 부실채권 3.2조 털어내…연체율 코로나 이후 최고 수준
  • 사법리스크 ‘최고조’ 달한 카카오…주가 시나리오 따져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346,000
    • +4.81%
    • 이더리움
    • 4,716,000
    • +5.13%
    • 비트코인 캐시
    • 545,500
    • +1.49%
    • 리플
    • 743
    • +0.54%
    • 솔라나
    • 215,800
    • +6.04%
    • 에이다
    • 615
    • +1.65%
    • 이오스
    • 817
    • +5.97%
    • 트론
    • 194
    • +0%
    • 스텔라루멘
    • 145
    • +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00
    • +7.84%
    • 체인링크
    • 19,490
    • +5.92%
    • 샌드박스
    • 462
    • +3.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