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구조조정 국면 진입한 은행株..투자 당분간 '대기'

입력 2008-10-31 10: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실물경기 침체 여파 시중 은행권에 본격 반영 중

"은행주 주가는 현재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다"

글로벌 금융경색과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점차 확대가 실물 부문의 잠재 위험이 버블 해소와 함께 국내 은행권의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요구하고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최근 정부의 한미간 통화스왑 협정 체결 등을 포함, 그동안 정부의 시장 개입에 따른 유동성 위험은 점진적으로 진정 국면을 맞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지만 지난 2000년 이후 과도하게 투자된 실물 부문의 후유증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국내 은행권의 잠재적 위험자산이 곳곳에 산재한 상황이라 실물 부문의 구조조정은 이제 시작 단계라고 봐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사례로 부산은행의 경우 최근 실적발표 IR에서 약 680억원의 부실 여신이 발생했다고 발표한 바 있고 며칠 전 국내증시를 끌어내렸던 C&그룹 워크아웃 신청 검토 소식 과정에서 밝혀진 은행권 여신이 약 1조3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는 등 과잉투자 후유증이 지속적으로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같은 잠재적 여신 부실 규모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투자증권의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내경제를 위협하는 수준인 시중 은행권의 총 여신규모는 1181조원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분양 20만호 가정시 미분양 주택의 시가 63조원, 미 시행 부동산 PF 30조원, KIKO계약 약 14조원(100억달러) 및 KIKO계약 보유 중소기업의 금융권 채무 10조원, 주택담보대출 최대 90조원, 개인사업자 대출 60조원 등과 같은 위험자산은 은행, 저축은행, 캐피탈 등에 집중적으로 산재해 있다는 설명이다.

이준재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실물 부문의 구조조정은 결국 은행에 최종 대부자로서의 역할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러한 과정에서 은행 주주는 부정적 영향권에서 벗어나기 힘들다"고 판단했다.

국내 건설사와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금융회사간 협약과 제도적 뒷받침하에 구조조정이 이미 시행되는 가운데 불완전판매와 관련 갖가지 소송 및 정부 외화 지급보증과 한국은행의 원화 유동성 지원 등 은행이 떳떳할 수 없는 상황속에서 각종 사회적 비난의 화살이 은행을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은행주 주가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설명하는 배경에는 경기침체 본격화로 인해 구조조정이 요구되는 광범위한 실물부문의 부실이 곧 은행권의 손실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인식을 바탕에 두고 있다.

이 연구원은 "과거 외환위기 당시에도 은행주가는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5배 미만에서 1년 이상 머물렀고 자본 확충 이후 장부가 수준으로 회귀, 현재 은행주 PBR은 0.7배로 외환위기 당시에 근접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실물경기 위축과 금융경색 강도, 집값 하락 등의 정도에 따라 자칫 최악의 경우 시중 은행들의 자본마저 위협받을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은행주 투자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단독 맘스터치, 국내서 드라이브스루 도전장…내달 석수역에 문 연다
  • 추석 명절 스트레스 1위는…"언제 오니?" 시댁 전화 [그래픽 스토리]
  • 추석 연휴에 아프면?…"경증이면 병·의원, 큰 병 같으면 119"
  • “별다방서 처음 맛보는 마티니 한잔”...스타벅스, 10번째 스페셜 스토어[가보니]
  • 청년 연간 최대 200만 원 세금 감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십분청년백서]
  • 美 대선 TV토론에도 심심한 비트코인, 횡보세 지속 [Bit코인]
  • "무시해" 따돌림까지 폭로한 뉴진스 라이브 영상, 3시간 만 삭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9.12 15:1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8,242,000
    • +2.61%
    • 이더리움
    • 3,185,000
    • +1.01%
    • 비트코인 캐시
    • 454,800
    • +4.34%
    • 리플
    • 724
    • +0.7%
    • 솔라나
    • 182,100
    • +2.13%
    • 에이다
    • 480
    • +5.49%
    • 이오스
    • 669
    • +3.08%
    • 트론
    • 208
    • +0.97%
    • 스텔라루멘
    • 126
    • +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800
    • -1.28%
    • 체인링크
    • 14,260
    • +1.28%
    • 샌드박스
    • 348
    • +3.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