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제안에…17년 끌었던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가시화

입력 2020-07-01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1월까지 세부 방안 마련…국방부 “서울시와 부지 매각 협의”

▲박원순 서울시장. (출처=서울시)
▲박원순 서울시장. (출처=서울시)

서울시가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을 이전하고 중앙감염병 전문병원을 설립하는 데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지난 17년간 지지부진하던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사업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4월 정부에 ‘중앙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을 제안하면서 돌파구를 찾았다.

서울시는 1일 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을 중구 방산동 미 공병단 부지로 이전·신축하기로 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국립중앙의료원을 미 공병단 부지로 이전·신축하기 위해 정부내 관련 부처와 협의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도시관리계획 변경 등을 통해 현재 국립중앙의료원 부지 매각과 미 공병단 부지 매입 등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시와 복지부는 11월까지 국립중앙의료원 이전·신축을 위한 구체적인 세부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연말부터 부지 매각·매입 등과 관련 절차가 진행된다.

국립중앙의료원은 보건복지부가 2003년부터 이전을 추진해왔다. 2014년 서초구 원지동 서울추모공원 내 부지로 옮기는 방안이 발표됐으나 경부고속도로 소음, 교통 불편, 부지 활용 제약 등의 문제로 사업이 답보 상태였다.

박 시장은 "지난 17년간 표류해 온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문제에 종지부를 찍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국립중앙의료원이 국가의 중심이 되는 공공병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감염병 대응과 진료 역량을 높여 수도권 시민 2500만 명의 건강을 지키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미 공병단 부지를 소유한 국방부도 국립중앙의료원 이전에 협조할 방침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미 공병단 부지는 현재 (미군으로부터) 반환 절차가 진행 중"이라며 "부지 매각과 관련해 서울시 요청이 있으면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박 시장은 4월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통해 "1958년 개원해 심각하게 노후화한 국립중앙의료원을 미 공병단 부지로 이전해 신축하고 '부설 국립중앙감염병 전문병원'과 제대로 된 '국립외상센터'를 건립해달라"고 복지부와 국방부에 제안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파월의 입'에도 6만2000달러 지지부진…"이더리움 반등 가능성 충분" [Bit코인]
  • "100% 급발진" vs "가능성 0"…다시 떠오른 고령자 면허 자격 논란 [이슈크래커]
  • 비둘기 파월의 입에…S&P500 5500 돌파·나스닥 1만8000 돌파
  • 황재균도 류현진도 “어쩌겠어요. ABS가 그렇다는데…” [요즘, 이거]
  • 임영웅, 가수 아닌 배우로 '열연'…'인 악토버' 6일 쿠팡플레이·티빙서 공개
  • 허웅 전 여친, 박수홍 담당 변호사 선임…"참을 수 없는 분노"
  • "재작년 홍수 피해자, 대부분 그대로 산다…마땅한 대책 없어"
  • 삼성전자‧화웨이, 폴더블폰 주도권 다툼 치열 [폴더블폰 어디까지 왔나-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7.03 14:4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961,000
    • -2.78%
    • 이더리움
    • 4,739,000
    • -2.31%
    • 비트코인 캐시
    • 528,500
    • -3.03%
    • 리플
    • 677
    • +0.59%
    • 솔라나
    • 209,200
    • +0.1%
    • 에이다
    • 582
    • +1.93%
    • 이오스
    • 810
    • -1.1%
    • 트론
    • 183
    • +1.67%
    • 스텔라루멘
    • 130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350
    • -2%
    • 체인링크
    • 20,030
    • -2.72%
    • 샌드박스
    • 452
    • -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