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문전작라(門前雀羅)/던바의 법칙

입력 2019-11-07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명언

“난초를 그림에 법이 있어도 안 되고 법이 없어도 안 된다[寫蘭有法不可無法亦不可].”

조선 금석학파를 성립하고, 추사체를 완성한 문신. 단순한 예술가·학자가 아니라 시대의 전환기를 산 신지식의 기수. 즉 새로운 학문과 사상을 받아들여 조선 왕조의 구문화 체제로부터 신문화의 전개를 가능케 한 선각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오늘 세상을 떠났다. 1786~1856.

☆ 고사성어 / 문전작라(門前雀羅)

아무도 찾는 사람이 없어 문 앞에 참새 잡는 그물을 칠 수 있을 정도로 쓸쓸하다는 뜻. 원전은 사기(史記) 급정열전(汲鄭列傳). “급암(汲黯)과 정당시(鄭當時) 정도의 현인이라도 세력이 있으면 빈객이 열 배로 늘어나지만 세력이 없으면 당장 모두 떨어져 나간다. 그러니 보통 사람의 경우는 더 말할 나위도 없다. 적공(翟公)이 정위(廷尉)가 되자 빈객이 문전성시를 이룰 정도로 붐볐다. 그러나 그가 면직되자 빈객은 금세 발길을 끊었다. 집 안팎이 어찌나 한산한지 ‘문 앞(밖)에 새그물을 쳐 놓을 수 있을 정도[門外可設雀羅]’다.”

☆ 시사상식 / 던바의 법칙

인류학자 로빈 던바(Robin Dunbar)가 진정한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최대치는 150명이라고 주장한 가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친구가 1000명이 넘어도 정기적으로 연락하는 사람은 150명 정도며, 그중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은 고작 20명도 되지 않는다는 주장.

☆ 한자가 변한 순우리말 / 주책

한자어 ‘무엇에 마음을 붙인다’는 뜻의 주착(主着)에서 왔다.

☆ 유머 / 변호사 가족의 비밀

아버지 사건들을 물려받은 아들이 들뜬 모습으로 집에 와 소리쳤다. “아버지가 오랫동안 끌어왔던 회장님 사건을 결국 제가 해결했습니다.”

아버지가 놀라 더듬더듬 말을 이었다. “이런 바보 같은 놈! 그 사건에서 나오는 돈으로 우리가 그동안 잘 살아왔는데.”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462,000
    • -0.11%
    • 이더리움
    • 4,757,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533,500
    • -2.38%
    • 리플
    • 662
    • -1.63%
    • 솔라나
    • 192,500
    • -0.67%
    • 에이다
    • 544
    • -1.98%
    • 이오스
    • 806
    • -1.47%
    • 트론
    • 173
    • +0.58%
    • 스텔라루멘
    • 128
    • -2.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000
    • -2.7%
    • 체인링크
    • 19,780
    • -0.3%
    • 샌드박스
    • 468
    • -1.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