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뿌리 금융' 신협, 연체율 상승 속 건전성 확보 안간힘

입력 2019-06-28 05:00 수정 2019-06-28 18: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작년 예대율 15%P 증가한 80%...1분기 순익 575억 1년새 반토막

신용협동조합(신협)은 지난해 기준 자산규모 90조 원 규모의 대표적인 금융협동조합이다. 하지만 2001년 이후 약 18년 동안 정부의 경영개선명령(MOU) 영향력에 놓여 있는 곳이기도 하다. 신협은 성장을 위해 올해 MOU 졸업을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고 전력을 다하고 있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무엇보다 신협이 자율경영을 수행할 만큼의 전문성과 자본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신협은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급성장했다. 신협은 2011년 당시 예금 48조269억 원과 대출금 31조6634억 원 규모에서 지난해 말 기준 예금 81조3695억 원과 대출금 65조644억 원으로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 다만, 이 기간 예금이 68% 증가할 때 대출금은 107% 늘어났다. 예금 대비 대출금 비중 역시 2011년 말 65% 수준에서 지난해 80%로 증가했다.

풀뿌리 금융기관으로서 신협 대출은 곧 서민 가계와 직결된다. 경기 상승기에는 대출 확대가 외형 확장에 도움이 되지만, 경기 하락기와 맞물리면 위험으로 돌아올 수 있다. 실제로 일부 지방 신협은 지역 경기 하락과 맞물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10% 이상을 기록한 곳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과 맞물려 지역 경기 민감도가 큰 신협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1분기보다 50% 감소한 575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예금보험료(예보료) 인하분 환입 등 일시증가분 209억 원이 제외됐기 때문이지만, 이를 고려해도 감소 폭이 컸다.

또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상호금융조합 가운데 가장 높았다. 1분기 연체율은 2.89%로 지난해보다 0.76%포인트 증가했으며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0.21%p 오른 2.69%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신협의 경영성과는 별문제 없다”며 “2007년 공적자금 수혈 이후 매년 잘 해내고 있지만, 과거에 누적된 것(손실)을 회복하는 시간이 걸린다. 이를 올해 말까지 털어내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협의 경영개선명령 역사는 2001년부터 시작된다. 당시 신협중앙회는 1200여 개 조합으로부터 약 5조 원의 예탁금을 운용했다. 하지만 당시 주식 투자손실 등으로 누적결손금 5200억 원이 발생했고, 5000억 원 규모의 자본잠식이 발생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신협중앙회에 경영개선명령 조치를 내리고 수습에 나섰다. 또 중앙회의 방만 경영 문제가 불거지자 정부는 경영개선명령 조치와 별도로 중앙회 신용사업 폐지까지 검토하는 등 신협 체질 개선에 나섰다. 이후 금융당국은 2004년과 2007년 두 차례 경영개선명령을 내리는 등 구조개선을 위해 노력했지만, 여전히 경영개선명령은 현재진행형으로 남았다.

3월 김윤식 신협중앙회장은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신협이 MOU 졸업을 위해 이행한) 과제 가운데 조금 미흡하더라도 (금융당국은) 추가 과제를 부여하고 나머지는 풀어주는 게 맞지 않느냐”며 “MOU 탈피가 안 되는 일은 생각하기 싫다”고 말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진스 민지도 승요 실패…두산 여자아이돌 시구 잔혹사
  • 다시 만난 최현석-안성재…'흑백요리사' 전 과거도 눈길
  • 건설업계·부동산 전문가 75% "서울 아파트값 계속 오른다"…지방은 상승 "어려워"
  • 자사주 취득·소각 길 열린 고려아연…영풍 또 가처분 신청
  • 단독 예산 수십억 들였는데 참여 기업은 3곳뿐…'AI 신뢰 인증제'
  • 尹, 쌍특검법·지역화폐법 재의 요구...24번째 거부권[종합]
  • 北 쓰레기풍선 피해 지원액 1억 원 넘어설 듯
  • “축구협회, 홍명보 감독 선임하며 내부규정 안 지켜”
  • 오늘의 상승종목

  • 10.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328,000
    • -0.07%
    • 이더리움
    • 3,217,000
    • -3.07%
    • 비트코인 캐시
    • 430,500
    • -0.14%
    • 리플
    • 723
    • -10.52%
    • 솔라나
    • 190,900
    • -2.35%
    • 에이다
    • 468
    • -2.09%
    • 이오스
    • 634
    • -1.86%
    • 트론
    • 208
    • +0.97%
    • 스텔라루멘
    • 123
    • -3.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200
    • -0.99%
    • 체인링크
    • 14,440
    • -3.48%
    • 샌드박스
    • 331
    • -2.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