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원고지에 육필로 원고를 쓰는 우리 시대의 몇 남지 않은 작가 김훈이 스스로 무기이자 악기, 밥벌이의 도구인 연필에 관한 이야기를 포문을 여는 신작이다. 집필실 칠판에 '必日新(필일신, 날마다 새로워져야 한다)' 세 글자를 써두고 새로운 언어를 길어 올리기 위해 연필을 쥐고 있는 저자가 '라면을 끓이며' 이후 3년 반여의 써내려간 200자 원고지 1156매의 원고들을 세상에 내놓았다.
저자는 '산문은 노인의 장르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아마도 작가 자신이 직접 보고 듣고 경험한 일과 기억의 파편들을 끄집어내고 파헤쳐 거듭 살아본 후에야 간신히 쓸 수 있는 장르라는 의미에서 한 말이 아닐까 싶다. 소설가이기 전에 이미 탁월한 에세이스트였던 저자는 어느덧 칠순에 이른 자신의 내면과 대한민국 현대사를 아우르며 자신만의 장르를 완성했다.
가장 일상적이고 사소한 대상을 집요하게 묘파해 기어이 인간과 세계의 민낯을 보여주는 저자의 글쓰기는 이번 책에서도 여전하다. 지난 산문집에서 '라면' 한 그릇으로 끼니를 대충 때우는 사람들의 공감을 자아냈다면, 이번 책에서는 '똥' 이야기로 매일 아침 끓는 속으로 변기 위에 주저앉으며 하루를 시작하는 생활인들의 심금을 울린다.
'칼의 노래'에 미처 담을 수 없었던 인간 이순신의 내면에 대한 이야기를 비롯해 지난해 세월호 4주기를 앞두고 팽목항, 동거차도, 서거차도에서 머물며 취재한 세월호 참사에 이르기까지 몽당연필로 붙들어둔 문장들을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