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신설선 개통 이후 신설동∼우이동 출퇴근 1시간 단축됐다

입력 2018-12-04 13: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초의 경전철인 우이신설선 개통 이후 신설동∼우이동 구간을 왕복하는 시간이 기존 버스를 타고 출퇴근할 때보다 1시간가량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교통카드 빅데이터 1242만 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우이동에서 신설동으로 이동하는 시간은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와 비교해 출근길은 최대 33분 줄었고 퇴근길은 최대 27분 감소했다.

개통 전후 출퇴근지가 동일한 표본만 추려 비교한 결과 서울시내 출퇴근 시간이 가장 줄어든 동선은 동북권 내 이동으로 집계됐다. 이는 우이신설선 이용패턴의 58%를 차지한다.

동북권 내 평균 이동시간은 출근 때 4.6분, 퇴근 때에는 5.2분이 단축됐다. 동대문구를 오가는 승객은 출근 9분·퇴근 11분, 강북구는 출근 5분·퇴근 10분, 성북구는 출근 7분·퇴근 4분 가량을 절약했다.

환승횟수 감소 효과는 동북권 밖으로 출퇴근하는 승객에서 두드러졌다. 출근 때는 서북권이 0.74회, 퇴근 때는 동남권이 0.94회 줄어 감소 효과가 가장 컸다.

기존 지하철 및 버스 수요 분산효과도 확인됐다. 수유역, 길음역 등 인근 7개 역사의 승객수는 우이신설선 개통 이후 최대 14% 감소했다. 우이신설선과 동일구간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1014번, 1166번은 이용객이 각각 5.7%, 27.1% 줄었다. 이에 따라 승하차 대기시간도 줄어 통행시간도 6분 단축됐다.

우이신설선 역 가운데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은 북한산보국문역으로, 일평균 1만1388명이 이용했다. 특히 이 역은 북한산 인근에 위치해 있어 주말 이용객이 평일보다 약 1.4배 많았다. 이어 솔샘역(1만443명), 정릉역(8186명), 4·19민주묘지역(7150명) 순이었다.

고홍석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통해 우이신설선 개통 후 동북권 주민들의 대중교통 편의가 증대된 것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며 “분석결과와 모니터링을 통해 시민들의 교통수요를 세밀하게 파악하고, 교통소외지역 해소와 이동편의 개선을 위한 교통정책 추진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바이든 리스크' 비트코인, 5만5000달러로 급락…4개월 만에 최저치 내려앉나 [Bit코인]
  • 현아·용준형, 연애 6개월 만에 결혼설…"10월 11일에 식 올린다"
  • [날씨] "출근길 우산 챙기세요" 수도권 천둥·번개 물폭탄…무더위는 계속
  • 맥북 던진 세종대왕?…‘AI 헛소리’ 잡는 이통3사
  • [기회의 땅 아! 프리카] 불꽃튀는 선점 전쟁…G2 이어 글로벌사우스도 참전
  • 국산 신약 37개…‘블록버스터’ 달성은 언제쯤? [목마른 K블록버스터]
  • “이마트 ‘노브랜드’ 발품 팔아 찾은 가성비...해외서도 통했죠”[단독 인터뷰]
  • ‘평생 트라우마’ 학교폭력, 더 심해지고 다양해졌다 [학교는, 지금 ①]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14:2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9,139,000
    • -3.17%
    • 이더리움
    • 4,144,000
    • -3.49%
    • 비트코인 캐시
    • 447,100
    • -5.42%
    • 리플
    • 597
    • -4.78%
    • 솔라나
    • 188,900
    • -4.69%
    • 에이다
    • 495
    • -4.99%
    • 이오스
    • 699
    • -4.64%
    • 트론
    • 177
    • -3.8%
    • 스텔라루멘
    • 119
    • -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700
    • -3.87%
    • 체인링크
    • 17,810
    • -2.68%
    • 샌드박스
    • 404
    • -5.39%
* 24시간 변동률 기준